'코로나 충격'에 작년 상가 평균 권리금 4074만원… '역대 최저'

입력 2021-02-02 14: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와 내수경기 침체 등으로 상가 시장의 위축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상가 가치 척도로 여겨지는 권리금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일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상가 평균 권리금은 4074만 원으로 1㎡당 52만8000원을 기록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상가 평균 권리금은 △2015년(4574만 원) △2016년(4661만 원) △2017년(4777만 원) △2018년(4535만 원) △2019년(4276만 원)으로 2017년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다. 특히 지난해엔 코로나19 확산에 상가시장이 직격탄을 맞은 영향이 컸다.

업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4522만 원)이 그나마 높은 권리금을 유지했다. 이어 △도매 및 소매(4092만 원)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4076만 원) △부동산 및 임대업(3160만 원) 등이 뒤를 이었다.

2019년 대비 권리금이 가장 많이 감소한 업종은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1261만 원↓)이었다. 반면 부동산 및 임대업 권리금은 전년도 대비 151만 원 올랐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과 소셜커머스 및 온라인 쇼핑몰 사용자 증가로 오프라인 점포 매출이 감소하고 있어 권리금 하락세는 계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HBM 동맹의 균열… SK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에 무슨 일이 [ET의 칩스토리]
  • 미국 부유층까지 동요…“금융위기·코로나 때처럼 전화 문의 폭주”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단독 환경부, 9월부터 전직원 챗GPT 도입…'기재부版'과 차별화
  • 공정위 'LTV 담합' 과징금 폭탄 예고에…4대 은행 대책 마련 분주
  • 모은 돈이 세력?…이재명·한동훈, 후원금도 경쟁 붙은 2025 대선 [해시태그]
  • “흰 연기를 기다리며”…교황 선종 이후, 콘클라베의 시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0,400,000
    • +4.56%
    • 이더리움
    • 2,436,000
    • +6.84%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4.18%
    • 리플
    • 3,085
    • +3.45%
    • 솔라나
    • 207,900
    • +7.33%
    • 에이다
    • 942
    • +5.61%
    • 이오스
    • 939
    • +3.64%
    • 트론
    • 354
    • +1.43%
    • 스텔라루멘
    • 369
    • +1.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720
    • +5.58%
    • 체인링크
    • 19,850
    • +5.81%
    • 샌드박스
    • 408
    • +3.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