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공공자가주택 법제화 추진…'토지 분리형 분양주택 특별법’ 발의

입력 2021-02-11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시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공공자가주택 제도 법제화를 추진한다.

노웅래<사진> 의원 등 민주당 소속 의원 11명은 이번 주 '토지 분리형 분양주택 특별법’을 발의했다. 관련 제도를 정비해 토지 분리형 분양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토지 분리형 주택이란 건축물만 분양하고 토지 소유권은 시행자가 그대로 갖는 주택이다. 분양가에 택지비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싼값에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 대신 주택 소유자에게 토지 임대료를 내도록 하자는 게 특별법 취지다.

특별법에선 토지 분리형 분양주택을 분양형과 환매형, 두 가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분양형 주택에선 자유롭게 건축물을 사고팔 수 있지만 환매형 주택은 아파트를 처분할 때 시행자에게 되팔아야 한다는 의무가 붙어 있다. 시세 차익으로 인한 집값 상승을 막으려는 조치다.

노 의원은 집이 "바잉(Buyingㆍ구매)이 아닌 리빙(Livingㆍ거주)이 되기 위해서 수요가 몰리는 도심지역에서는 시세 차익을 볼 수 없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지역은 환매 없이 시세차익을 가능하게 재산권 제한을 풀어주는 것이 이 법의 주요 요지"라고 설명했다.

노 의원 등은 집값 안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 1가구 1주택을 원칙으로 무주택 세대주에게 토지 분리형 주택을 우선 공급하고 10년간 전매 제한 의무를 적용하자고 제안했다. 또 용적률 250% 이상으로 아파트를 고밀 건축하도록 해 주택 공급 효과를 높이도록 했다.

이 같은 토지 분리형 분양주택 구상은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는 공공자가주택 개념과 유사하다. 공공자가주택은 소유권은 민간에게 주되 토지 임대나 환매 조건 등 시세 차익 환수 장치를 갖춘 주택이다. 정부는 지난주 '대도시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하며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주택 가운데 20~30%는 공공자가주택으로 짓기로 했다.

노 의원은 "토지와 건물을 분리해 토지 없이 건물만 분양하는 아파트를 공급하면 반값 아파트가 실현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197,000
    • -0.2%
    • 이더리움
    • 2,532,000
    • -2.13%
    • 비트코인 캐시
    • 500,000
    • -1.09%
    • 리플
    • 3,281
    • +2.34%
    • 솔라나
    • 211,000
    • -1.72%
    • 에이다
    • 996
    • -0.5%
    • 이오스
    • 972
    • +1.89%
    • 트론
    • 355
    • -1.39%
    • 스텔라루멘
    • 407
    • -0.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300
    • -5.38%
    • 체인링크
    • 20,970
    • +0.67%
    • 샌드박스
    • 423
    • -0.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