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발 안 먹히는 2·4대책…수도권 아파트 매수심리 역대 최고

입력 2021-02-15 18: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 118.8…전주보다 0.6포인트↑

▲역대급 규모의 주택 공급 내용을 담은 2·4 부동산 대책에도 수도권 아파트 매수심리는 오히려 더 강해지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고이란 기자 photoeran@)
▲역대급 규모의 주택 공급 내용을 담은 2·4 부동산 대책에도 수도권 아파트 매수심리는 오히려 더 강해지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고이란 기자 photoeran@)

역대급 규모의 주택 공급 내용을 담은 2·4 부동산 대책에도 수도권 아파트 매수심리는 오히려 더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8일 조사 기준)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18.8로 전 주(118.2)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이 조사를 시작한 2012년 7월 이래 최고치다.

이 수치는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이다.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다는 의미다. 반대로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음을 뜻한다.

수도권에서는 경기(124.9)가 조사 이후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경기는 12·16 대책이 나온 지난 2019년 12월 100을 넘겼고, 작년 6·17대책과 7·10대책 발표에도 100 이상을 유지했다. 작년 10월 첫째 주(107.4)부터 지난주까지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서울은 111.9로 지난해 8·4 공급대책 발표 직전인 7월 13일(113.1) 이후 7개월여 만에 최고점을 찍었다. 인천(110.7)은 전주보다 소폭(2.3포인트) 하락했다.

2·4대책으로 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커져 상승 폭이 높던 일부 지역이 관망세를 보였지만, 중저가 아파트에 매수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게 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지난주 부동산원 조사에서 수도권 아파트값은 0.33% 올라 3주 연속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8년 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속보 이재명, 민주 경선 최종 득표 89.77% 압승…김동연 7% 김경수 3%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주말에도 SKT 대리점 곳곳 긴 줄…PASS 앱 먹통
  • 신용카드 연체율 10년만 최고…신용불량 사업자 1년 새 30%↑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상장폐지 허들 낮췄는데…비상장주식 시장 '한파'
  • 모두 움츠릴 때, 삼성은 뽑는다… 이재용 '미래 위한 투자' 강행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031,000
    • +0.12%
    • 이더리움
    • 2,614,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09,500
    • -2.58%
    • 리플
    • 3,148
    • -1.16%
    • 솔라나
    • 214,200
    • -0.7%
    • 에이다
    • 1,010
    • -2.51%
    • 이오스
    • 973
    • -3.18%
    • 트론
    • 362
    • +0.84%
    • 스텔라루멘
    • 412
    • -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50
    • -0.66%
    • 체인링크
    • 21,030
    • -2.5%
    • 샌드박스
    • 435
    • -0.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