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I, 포스코SPS와 손잡고 수소드론용 연료전지 경량화 기술 개발 진행

입력 2021-03-25 08: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카고드론ㆍ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 사업 진출 발판 마련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두순 대표(왼쪽)와 포스코SPS 김학용 대표가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DMI)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두순 대표(왼쪽)와 포스코SPS 김학용 대표가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DMI)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하 DMI)이 24일 포스코SPS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수소드론용 연료전지에 들어갈 20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두께의 초극박 금속분리판 개발에 나선다.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핵심부품 중 하나인 금속분리판은 수소ㆍ산소ㆍ냉각수를 막전극접합체 전면에 균일 분배∙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소드론과 같은 항공 모빌리티에 사용되는 연료전지는 경량화가 특히 중요하며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된다.

DMI는 이미 50μm 금속분리판을 포스코SPS와 공동개발해 드론용 수소연료전지 파워팩에 적용한 바 있다.

50μm 금속분리판은 현존하는 분리판 중 가장 얇은 제품이며 수소자동차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금속분리판(두께 80μm~100μm)의 절반 수준이다.

양사는 20μm 금속분리판 개발에 멈추지 않고 카고드론ㆍ도심항공교통(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 사업에 진출하는 기회를 모색한다.

DMI 이두순 대표는 “금속분리판은 수소드론 1대에 약 450개가 들어가는 매우 중요한 부품으로 DMI가 카고드론 등의 다양한 사업분야로 진출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DMI가 보유한 설계 기술과 포스코SPS 소재가공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및 제품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DMI는 올해 2월 중국 로봇 전문기업인 중신중공업카이청인텔리전스와 수소로봇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또 50μm 금속분리판을 적용한 15kW(킬로와트) 연료전지를 개발해 카고드론 사업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865,000
    • +0.75%
    • 이더리움
    • 2,604,000
    • +2.08%
    • 비트코인 캐시
    • 521,500
    • -0.86%
    • 리플
    • 3,180
    • +0.76%
    • 솔라나
    • 216,600
    • -2.17%
    • 에이다
    • 1,037
    • +0.1%
    • 이오스
    • 1,010
    • +3.27%
    • 트론
    • 356
    • +1.42%
    • 스텔라루멘
    • 420
    • +2.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500
    • +18.61%
    • 체인링크
    • 21,560
    • -1.06%
    • 샌드박스
    • 446
    • +0.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