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요 아파트 보유세 분석했더니…6년 안에 '최대 3배' 오를 수도

입력 2021-03-29 09: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경준, 공시가격 현실화율 반영 분석…마래푸, 2.3배 증가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일대. (고이란 기자 photoeran@)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일대.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서울 주요 아파트의 1주택자 보유세가 6년 안에 약 2배, 최대 3배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집값 상승세가 과거처럼 이어진다면 보유세 부담은 3∼6배까지 급증할 가능성도 나왔다.

국민의힘 부동산 공시가격 검증센터장을 맡은 유경준 의원은 29일 서울 시내 147개(지역구별 3개) 대표단지의 국민주택규모(85㎡·25.7평) 이하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유 의원에 따르면 서울 주요 아파트 보유세가 약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유세 증가는 2022년부터 100%가 되는 공정시장가액 비율과 공시가격 현실화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당 결과는 고령자·장기보유 공제 효과를 10% 고려해 추산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마포구의 '대장 주'로 꼽히는 마포래미안푸르지오는 지난해 336만 원(재산세 303만 원·종합부동산세 33만 원)이던 보유세가 2026년 773만 원(480만 원·293만 원)으로 약 2.3배가 된다. 종로 경희궁자이3단지는 보유세 412만 원(346만 원·66만 원)에서 777만 원(481만 원·296만 원)으로 약 1.9배로 증가한다.

동대문 전농래미안크레시티는 211만 원(종부세 없음)에서 619만 원(421만 원·198만 원)으로 약 2.9배, 강남 도곡렉슬은 보유세 786만 원(513만 원·273만 원)에서 2154만 원(812만 원·1342만 원)으로 약 2.7배가 된다.

용산 강촌아파트는 297만 원(281만 원·16만 원)에서 779만 원(482만 원·297만 원), 송파 헬리오시티는 454만 원(370만 원·84만 원)에서 1188만 원(590만 원·598만 원)으로 모두 2.6배가 된다.

집값 상승세가 현 추세를 이어가고, 고령자·장기보유 공제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보유세 부담은 더 크게 뛰었다.

2026년 보유세는 마포래미안푸르지오가 2011만 원(758만 원·1253만 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약 6배, 경희궁자이3단지는 1392만 원(624만 원·769만 원)으로 약 3.4배, 도곡렉슬은 3996만 원(1127만 원·2869만 원)으로 약 5.1배로 불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유 의원은 "정부가 마련한 각종 특례와 공제 제도를 적용해 추산해도 보유세가 평균 2배로 오른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는 징벌적 과세를 당장 그만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39,000
    • -0.59%
    • 이더리움
    • 2,628,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511,000
    • -2.57%
    • 리플
    • 3,150
    • -0.32%
    • 솔라나
    • 210,900
    • -0.52%
    • 에이다
    • 995
    • -3.59%
    • 이오스
    • 1,007
    • -5.36%
    • 트론
    • 356
    • +1.14%
    • 스텔라루멘
    • 387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450
    • -1.32%
    • 체인링크
    • 20,220
    • -1.84%
    • 샌드박스
    • 399
    • -3.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