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오염수 방류결정에…여야 "지독한 이기주의, 범죄행위"

입력 2021-04-13 17: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즉각 철회하라" 촉구 한목소리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사고로 발생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결정한 13일 오후 서울 도봉구 창동 하나로마트 창동점 수산물코너에서 관계자가 '일본산 수산물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을 붙이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사고로 발생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결정한 13일 오후 서울 도봉구 창동 하나로마트 창동점 수산물코너에서 관계자가 '일본산 수산물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을 붙이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13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한 일본 정부를 향해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최지은 더불어민주당 국제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국제사회 반대에도 오염수 해양 방출을 단독으로 결정한 것은 염치없고 이기적인 것"이라며 "일본 정부는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을 즉각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홍익표 정책위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와 민주당은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에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민주당은 우리 바다와 수산물에 대해 철두철미하게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고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오염수 처리 과정에 대한 검증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기 당권주자들도 목소리를 높였다. 송영길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일본의 결정은 지독한 자국 이기주의로 전 인류에게 용서받지 못할 죄", 우원식 의원은 "방사성 오염수를 배출한 최초의 범죄행위", 홍영표 의원은 "동북아 공동체에 대한 도전"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비판을 이어갔다. 윤희석 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사전 협의나 깊은 논의도 없이 무책임한 결정을 내린 일본 정부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가능한 외교 채널을 모두 가동해 일본의 무단 방출에 대한 신속하고 엄정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관련 상임위에서 정부 대응이 적절했는지를 따져보고, 초당적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일본 오염수 방류에 대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 온 국민의힘 소속 원희룡 제주지사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 결정은 인접국 국민에 대한 폭거"라며 "제주 주재 일본 총영사를 초치하고, 주한 일본대사 면담을 통해 강력히 항의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477,000
    • +0.19%
    • 이더리움
    • 2,321,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457,800
    • +2.83%
    • 리플
    • 3,002
    • +1.49%
    • 솔라나
    • 181,600
    • +4.19%
    • 에이다
    • 927
    • +0.43%
    • 이오스
    • 872
    • -5.42%
    • 트론
    • 362
    • +3.72%
    • 스텔라루멘
    • 3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50
    • +0.15%
    • 체인링크
    • 18,550
    • +0.43%
    • 샌드박스
    • 380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