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명동 상가 10곳 중 4곳이 '공실'

입력 2021-04-28 14: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1분기 전국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 동향. (자료 제공=한국부동산원)
▲올해 1분기 전국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 동향. (자료 제공=한국부동산원)

올해 1분기 전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직격탄을 맞았다.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명동과 이태원 상권을 중심으로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졌다. 특히 명동 상권의 경우 비어있는 상가의 비율이 40%에 육박했다.

28일 한국부동산원의 올해 1분기 전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오피스의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0.1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가시장에선 중대형 상가 0.26%, 소규모 상가 0.22%, 집합상가가 0.20%씩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오피스는 신규 오피스 공급으로 인한 임차인 유치 경쟁 등 임대료 할인 정책으로 임대가격지수가 떨어졌다"며 "상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관광객 급감과 사회적 거리 두기의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서울 오피스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오피스 수요 감소와 공실 증가로 전분기 대비 0.15% 떨어졌다. 상가시장 역시 타격을 입었다. 명동ㆍ광화문 상권의 중대형 상가들은 관광객 급감에 따른 유동인구 감소와 매출 부진으로 전분기 대비 0.41% 하락했다.

투자수익률은 오피스가 2.04%, 중대형 상가 1.69%로 나타났다. 소규모 상가와 집합상가는 각각 1.48%, 1.38%로 조사됐다. 집합상가를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수익률이 늘었다. 임대수익 감소로 소득수익률은 줄었지만 풍부한 유동성과 저금리 기조에 따른 투자 수요로 자산 가치가 상승했다는 게 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가 11.1%, 중대형 상가는 13.0%, 소규모 상가는 6.4%로 나타났다. 오피스와 중대형 상가는 전분기 대비 각각 0.3%P, 0.6%P 늘었고, 소규모 상가는 소폭(0.1%P) 줄었다.

특히 서울 중대형 상가시장에선 명동의 공실률이 무려 38.4%까지 치솟았다. 이태원과 홍대 일대도 각각 22.6%, 13.1%에 달했다. 서울 중대형상가 전체 공실률은 8.9%였다.

부동산원 측은 "외국인 관광객 감소로 인한 매출 부진으로 폐업 또는 휴업하는 업체가 늘어난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다음 주 尹 법정 모습 공개된다…법원, 공판 촬영 허가
  • 감사원 “文 정부, 통계청·부동산원 압박해 수치 수정·왜곡 지시”
  • 트럼프 ‘관세 협상’ 깜짝 등판…일본 첫 단추부터 ‘주도권’ 뺏겨
  • “대중교통 이용도 쉽지 않으니까요”…‘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이용하려면 [경제한줌]
  • [세계의 창] 푸틴, 해군 핵무기 현대화 완료 선언...전문가 의견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73,000
    • +0.33%
    • 이더리움
    • 2,295,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487,900
    • +4.21%
    • 리플
    • 2,999
    • -1.96%
    • 솔라나
    • 194,700
    • +1.35%
    • 에이다
    • 898
    • +0.45%
    • 이오스
    • 909
    • +2.25%
    • 트론
    • 360
    • -0.55%
    • 스텔라루멘
    • 348
    • +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50
    • +0.32%
    • 체인링크
    • 18,170
    • +0.78%
    • 샌드박스
    • 360
    • +0.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