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ESG 강화 위해 국내 역대 최대 규모 지속가능채권 발행

입력 2021-05-06 14: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성숙 네이버 대표.  (사진제공=네이버밋업 캡쳐)
▲한성숙 네이버 대표. (사진제공=네이버밋업 캡쳐)

네이버가 지난 3월 5억 달러 규모의 해외채권 데뷔 발행에 이어, 5일 3억 달러 규모의 증액 발행에도 성공했다. 특히, 네이버의 이번 해외사채 리오프닝(Re-opening)은 국내 민간기업 최초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네이버는 지난 3월 발행된 5억 달러 규모의 2026년 만기 지속가능채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꾸준한 추가 수요를 바탕으로, 기존 채권을 추가로 증액하는 리오프닝을 진행해 3억 달러 규모의 추가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금번 리오프닝까지 포함해 총 8억 달러가 된 네이버의 지속가능채권 규모는 국내 최대 수준이다.

네이버 측은 당초 2억 달러 규모로 자금 조달에 나섰으나, 해외우량투자자들의 실수요를 바탕으로 기존 목표금액을 상회하는 3억 달러를 증액했다고 덧붙였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88%, 유럽 12% 배정 받았고, 투자자 유형별로는 자산운용사 66%, 은행 및 PB 33%, 보험사 및 기타 투자자 1%를 배정 받았다.

네이버는 5일 오전 미국채 5년 대비 110 bps area에 최초 금리 가이던스Initial Price Guidance를 제시하여 북빌딩을 개시했다.

오후 7시경, 최종 금리 가이던스Final Price Guidance는 미국채 5년 대비 85 bps 로 제시하였고 당시 투자자 수요 최대 금액은 10억 달러 수준이었다.

통상 목표 금액 대비 3-4배수로 수요를 모집하는 신규 채권 발행과 달리, 리오프닝은 이미 발행한 5억 달러 채권을 증액하므로 실수요 위주인 점이 큰 차이점이다. 리오프닝 방식에도 불구하고 최대 주문 기준으로 조달 금액 대비 3배 이상 수요를 모집한 점이 인상적이다.

이번 증액 발행과 관련해,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는 네이버의 신용등급(A3 안정적 / A- 안정적)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판단하였고, 증액 발행을 감안해도 낮은 수준의 레버리지 비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상진 네이버 CFO는 “이번 리오프닝을 계기로 네이버 ESG 경영에 대한 투자자들의 긍정적 신뢰를 재확인했고, 향후 친환경/사회적 투자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강원 인제 산불 사흘만 재발화…확산 가능성은?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1: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83,000
    • -0.08%
    • 이더리움
    • 2,598,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518,500
    • -1.33%
    • 리플
    • 3,231
    • -1.88%
    • 솔라나
    • 211,600
    • -0.47%
    • 에이다
    • 1,007
    • -0.3%
    • 이오스
    • 987
    • -0.4%
    • 트론
    • 351
    • -1.68%
    • 스텔라루멘
    • 403
    • -0.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50
    • -3.86%
    • 체인링크
    • 21,150
    • -2.17%
    • 샌드박스
    • 422
    • -3.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