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단순노무직 47만6000명 늘어…역대 최대 증가

입력 2021-05-16 13: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취업자 증가 중 73% 차지…10명 중 6명 60세 이상

▲서울 성동구 희망일자리센터를 찾은 시민이 채용정보 게시판을 보고 있다.  (뉴시스)
▲서울 성동구 희망일자리센터를 찾은 시민이 채용정보 게시판을 보고 있다. (뉴시스)

지난달 건설 현장 노동자와 음식 배달원 등 단순노무직 근로자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늘어난 단순노무직 10명 중 6명은 60세 이상으로 조사됐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4월 단순노무 종사자는 397만 명으로, 1년 전보다 47만6000명이 늘었다. 관련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2013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지난달 늘어난 취업자는 65만2000명으로 이 중 약 73%가 단순노무직인 셈이다.

증감률 기준으로도 단순노무 종사자 증가율은 13.6%로 전체 직업 가운데 가장 높았다.

단순노무직을 연령별로 나눠 보면 60세 이상이 168만9000명으로 1년 새 27만5000명이 늘었다. 지난달 늘어난 단순노무직 47만6000명 중 57.8%는 60세 이상이다.

50대는 8만2000명, 20대가 8만1000명 늘면서 뒤를 이었다. 그 외 30대(2만6000명), 15∼19세(1만8000명) 등 순이었다. 40대 단순노무직은 6000명 줄었다.

반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11만5000명(2.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밖에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8만8000명·3.8%), 서비스종사자(7만4000명·2.5%), 사무종사자(6만2000명·1.3%) 등 순으로 취업자가 늘었다.

판매종사자(-12만 명·-4.1%)와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3만3000명·-1.1%), 농림어업숙련종사자(-5000명·-0.4%), 관리자(-5000명·-1.2%)는 취업자 수가 줄었다.

통계청이 고용 통계에 적용하는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르면 단순노무직은 몇 시간 또는 몇십 분의 직업 내 훈련으로 업무수행이 가능한 단순하고 일상적 업무를 뜻한다. 건설 현장 노동자나 음식 배달원, 건물 환경미화원, 경비원, 가사 도우미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53,000
    • -2.55%
    • 이더리움
    • 2,287,000
    • -4.43%
    • 비트코인 캐시
    • 461,000
    • -4%
    • 리플
    • 3,014
    • -4.41%
    • 솔라나
    • 181,800
    • -6.14%
    • 에이다
    • 878
    • -5.79%
    • 이오스
    • 910
    • +3.17%
    • 트론
    • 369
    • +2.22%
    • 스텔라루멘
    • 342
    • -2.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70
    • -1.62%
    • 체인링크
    • 17,710
    • -4.37%
    • 샌드박스
    • 359
    • -4.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