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로 수면장애를 앓고 있는 인구가 약 3억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돼 우리 기업도 관련 시장을 주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가 28일 발표한 ‘중국 수면 경제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불면증 발병률은 전년보다 20.3% 증가해 38.2%를 기록했다. 이는 세계 평균 불면증 발병률인 27%보다 10%p 가까이 높은 수치다.
중국의 수면용품 및 서비스 관련 시장도 2015~2019년간 연평균 11.2%씩 성장하며 2022년에는 약 4572억 위안(약 80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나이별로는 1990년대생과 2000년대생의 불면증 발병률이 높았고, 주요 수면장애 발병 원인으로는 정서적 요인, 생활 스트레스, 업무 스트레스 등이 있었다.
관련 뉴스
특히, 중국 IT 산업 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알리바바, 징둥, 화웨이, 샤오미 등 대기업이 ‘996 근무제’(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일주일에 6일 근무)를 도입하면서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면증을 호소하는 젊은 층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수면용품 브랜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7~2019년간 수면용품 브랜드 수는 연평균 32% 증가했고, 전자상거래 플랫폼 내 수면용품 관련 입점 매장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65%를 기록했다.
이에 징동은 2015년부터 매년 세계 수면의 날(3월 둘째 주 금요일)에 맞춰 수면용품 판촉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고 올해는 침실 무드등, 스마트 암막 커튼 등의 판매액이 전년 대비 각각 130%, 170% 증가했다. 알리바바그룹의 티몰에서도 2019년 6월 18일 진행한 할인 이벤트 데이에 판매된 수면용품이 전년 대비 530%나 늘었고, 11월 11일 광군제에는 174% 증가했다.
심준석 무역협회 상하이지부장은 “만사를 귀찮아하는 젊은 층의 귀차니즘 소비 방식,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의 활성화로 수면용품의 유통 및 판매 역시 온라인으로 집중되고 있다”라면서 “젊은 층을 겨냥한 다양한 스마트 수면기기 및 수면 앱이 향후 수면 보조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