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한미약품, 조정희 교수팀과 "폐암내성 표적신약 연구"

입력 2021-06-11 14: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단국대 의생명공학부 조정희 교수와 연구협력 체제 구축

한미약품과 단국대학교는 지난 10일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관에서 공동연구 협약식 및 공동연구센터 개소식을 가졌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한미약품 이관순 부회장과 단국대 김수복 총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미약품은 조정희 단국대학교 의생명공학부 교수가 진행중인 폐암 내성 기전 연구, 신규 표적 발굴 기술을 기반으로 폐암 내성을 극복하는 약물을 개발하게 된다. 부작용이 적고 효능이 우수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한다.

또한 한미약품은 이번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단국대학교내 최신 연구시설을 갖춘 ‘DKU-HANMI 혁신 신약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조정희 교수는 하버드의대 다나파버 암연구소(Dana-Farber Cancer Institute) 등에서 15년 이상 종양유전체학 및 대단위 기능유전체 기반 스크리닝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현재 조교수 연구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실지원사업’에 따른 연구 지원을 받고 있다.

한미약품은 단국대학교와 임상시험과 학술, 교육활동을 위한 인적자원 교류, 연구개발 시설 활용, 산학협력기반 조성을 위한 인프라 공유 등 다각적인 면에서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수복 단국대학교 총장은 “글로벌 수준의 신약 개발 경쟁력을 보유한 한미약품과의 협력은 의생명 분야의 학술, 산업계 발전에 의미있는 성과를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이번 연구 협력이 훌륭한 결실을 맺어 부작용을 줄이고 효과를 높인 혁신적인 내성 폐암 표적 항암제 개발로 이어져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관순 한미약품 부회장은 “한미약품은 내·외부 유망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고 있다”며 “이번 협력은 한미의 축적된 항암제 개발 노하우 및 역량을 극대화해 산학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혁신의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의 쓰레기봉투가 파헤쳐진다…과태료 파파라치 괴담, 진짜일까? [해시태그]
  • 대기업 회장님도 유느님도 탔던 '제네시스'…럭셔리 국산차의 산 증인 [셀럽의카]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이젠 모르겠다” 월가, 트럼프발 증시 급등락에 한숨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폭싹 속았수다’로 왕좌 굳힌 넷플릭스…쿠팡·티빙은 2위 쟁탈전
  • 트럼프, 중국에 ‘145%’ 관세…시진핑은 동남아 3국으로 ‘우방 결속’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504,000
    • -0.56%
    • 이더리움
    • 2,292,000
    • -2.76%
    • 비트코인 캐시
    • 443,100
    • +1.96%
    • 리플
    • 2,950
    • +0%
    • 솔라나
    • 173,100
    • +2.49%
    • 에이다
    • 917
    • +0%
    • 이오스
    • 923
    • -5.14%
    • 트론
    • 348
    • -2.79%
    • 스텔라루멘
    • 345
    • -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180
    • +0.49%
    • 체인링크
    • 18,330
    • +0.22%
    • 샌드박스
    • 380
    • +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