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코로나 치료제, 경구용ㆍ흡입용으로 경쟁력 모색…상용화 임박한 곳은?

입력 2021-07-28 15: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광약품 임상 2상 마무리…대웅제약 임상 2b상 최종 데이터 분석 중

▲서울 관악구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 서 있다.  (뉴시스)
▲서울 관악구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 서 있다. (뉴시스)

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감염자 수가 폭증하며 백신 접종으로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던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선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 외에 2호 치료제 탄생이 요원해 상용화가 늦어지는 만큼 편의성과 접근성이 낮은 주사 방식이 아닌 경구용, 흡입용 등 보다 편리한 제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나오고 있다.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 가운데 임상시험을 현재 진행 중인 사례는 총 13건이다. 이 가운데 이른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정제형은 4개, 캡슐제 1개, 흡입제 1개이고, 나머지 9개는 주사제로 개발 중이다.

정부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다국적 제약사의 치료제를 선구매하는 등 도입을 위한 다각적 검토에 나섰고 국내 업체들의 개발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질병관리청에 이달 경구용 치료제 확보 예산 471억 원을 편성했다.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가운데 임상 2상을 마무리한 곳은 신풍제약, 부광약품 등이다. 신풍제약은 이달 초 경구용 치료제 ‘피라맥스’(성분명 피로나리딘·알테수네이트)에 대한 임상 2상 최종 데이터 발표를 통해 주평가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고, 대규모 임상 3상 시험을 통해 다시 유의성을 입증한다는 방침이다.

이달 중순 ‘레보비르’(성분명 클레부딘)에 대한 임상 2상을 마무리한 부광약품은 현재 데이터를 분석 중이다. 부광약품 측은 “임상 2상 환자를 대상으로 투약 후 모니터링까지 완료했고 현재 데이터 분석을 진행 중인데 최종 데이터가 나오면 관계 기관과 향후 움직임에 대해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임상 2상에 대한 최종 데이터 결과에 따라 조건부 허가 신청을 고려하겠다는 의지를 시사했다.

대웅제약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코비블록’(성분명 카모스타트 메실레이트)을 개발 중인데 전날 임상 2b상의 톱라인 결과를 발표했고, 최종 결과가 나오는 대로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이번 임상 2b상에서 전체 환자에 대한 임상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다만 대웅제약 측은 “카모스타트를 제공량의 70% 이상 복용한 환자의 경우 코로나19 대표적 증상이 위약군보다 빠르게 개선됐고, 호흡기 증상이 있는 50대 이상 경증 환자의 증상 개선 시간을 줄였다”라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서 나아가 향후 코로나19의 감염 경로 자체를 차단할 수 있는 비강 분무 제형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도 코로나19 치료제의 옵션을 다양화하기 위해 기존 주사형의 렉키로나주를 흡입용으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을 진행 중이다. 셀트리온은 흡입용 항체 치료제 개발 관련 특허 및 기술을 보유한 미국 소재 바이오기업 ‘인할론 바이오파마’와 계약을 맺고, 지난달 호주에서 흡입용 렉키로나 임상 1상을 시작했다. 이후 임상 2상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흡입용 렉키로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기도 점막에 항체를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흡입기를 통해 렉키로나를 투여함으로써 코로나19 환자의 투약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 크리스탈지노믹스, 동화약품, 뉴젠테라퓨틱스가 정제형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임상을 진행 중이고, 한국엠에스디는 캡슐제,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흡입용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임상을 이어가고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는 복용 편의성과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입원할 필요가 없는 경증 환자 치료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경구용 치료제가 나오면 계절 독감과 마찬가지로 예방 백신을 맞고 그럼에도 감염으로 확진자가 나올 때 경구용 치료제를 먹고 집에서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다만 경증 환자의 경우 굳이 치료하지 않아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등증 이상 환자에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경구용 치료제가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마의 7년'도 훌쩍…'10주년' 찍고 또 다른 '전성기' 노리는 그룹은? [엔터로그]
  • 단독 임병선 SPC 대표, 6개월 만에 사임...‘허영인 리더십’ 흔들
  •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30대 징역 1년 6개월·20대 징역 1년
  • 최다 폐업률 구간 '1~3년'…자영업 생존, 얼마나 버틸까 [데이터클립]
  • 가입기준 확대된 '청년내일저축계좌', 누가 언제까지 가입 가능할까 [경제한줌]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wisdom
    치료제 피라맥스에 대해 더 알아봐 주세요 기자님~ !̆̈치료제 피라맥스가 코로나 종식 시킬수 있어요
    2021-07-28 17:14
  • 코로나 박멸
    이번 피라맥스가 2상 실패로 보도된건 PCR CT값을 40으로 임상 디자인을 했기때문입니다. 미국 CDC에서는 7월21일 RT PCR 검사법의 위양성 오류 과다로 인해 사용을 12월 말로 금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피라맥스는 PCR CT값 부분만 제외하면 복용 3일 후 코로나 바이러스 90 ,% 이상 , 10일 후에는 100% 사멸이 확인되었습니다.말라리아 치료제로 임산부 어린이까지 복용 가능하며 2017년 WHO 필수 의약품에 등제된 효능 안전성 다 확보된 치료약입니다.피라맥스의 긴급 승인이 필요합니다.
    2021-07-28 16:24
  • 이동우
    기자님 신풍제약에 대해 좀 더 공부좀 하시죠 왜 식약처에서 유효성없다고 하는지 pcr검사가 과연 믿을수 있는 검사인지 지금 해외는 배양검사로 판별한다는데 왜 식약처만 pcr로 따지는지 셀트리온 렉키로나 호가해줄땐 pcr검사가 별의미없다 해놓코 왜 신풍제약 피라맥스는 딴지 거는지 먼가 뒤가 구리지않습니까 기자님 셀빠에요? 팩트있는 기사좀 내주세요
    2021-07-28 16:14
  • 코로나19
    피라맥스 주평가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고, (이제 옛날 이야기 아닌가? PCR검사는 위양성때문에 의미없는 거라고 그렇게 떠들어도 공부좀 하세요)배양검사 결과 3일만에 99퍼 바이러스 억제, 기저질환자 10일만에 100퍼 음성..이러면 말 다한거 아닌가요? 빨리 피라맥스 풀어 주세요
    2021-07-28 16:13
  • 조재은
    인류구원할 약입니다. 기자님 기사 쓰실 때 제발 공부 좀 하시고 베껴쓰기식 기사 쓰지 마세요피라맥스 공부 하시고 기사 다시 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pcr값은 지금 세계적으로 임상표준값으로 쓰지도 않고 임상 까다로와져서 세포배양값을 표준지표로 삼고 있습니다. 피라맥스는 세포배양값으로 세계 최고의 결과치가 나온 약입니다. https://youtu.be/r9upgs3wxKI피라맥스 통합본http://naver.me/Fa3WYtT4
    2021-07-28 16:1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98,000
    • -0.74%
    • 이더리움
    • 3,645,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568,000
    • -0.87%
    • 리플
    • 3,596
    • +0.11%
    • 솔라나
    • 247,500
    • -1.08%
    • 에이다
    • 1,127
    • -2.17%
    • 이오스
    • 1,142
    • -8.57%
    • 트론
    • 389
    • +2.37%
    • 스텔라루멘
    • 431
    • -2.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00
    • -3.62%
    • 체인링크
    • 23,800
    • -1.2%
    • 샌드박스
    • 497
    • -1.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