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플라즈마, 1100억 유상증자해 바이오 영역 진출 박차

입력 2021-07-28 17: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혈액질환 치료제·희귀 난치성 질환 신약 공동개발 추진

▲김윤호 SK플라즈마 대표(왼쪽에서 두번째)가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왼쪽에서 첫번째), 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오른쪽에서 두번째), 박찬중SK디스커버리 사장(오른쪽에서 첫번째)과 투자 계약 체결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SK플라즈마)
▲김윤호 SK플라즈마 대표(왼쪽에서 두번째)가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왼쪽에서 첫번째), 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오른쪽에서 두번째), 박찬중SK디스커버리 사장(오른쪽에서 첫번째)과 투자 계약 체결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SK플라즈마)

혈액제제 전문 기업 SK플라즈마가 바이오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

SK플라즈마는 기존 혈액제 사업 성장 가속화 및 신규 바이오 영역 확대를 위해 11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유상증자에는 SK플라즈마의 모회사 SK디스커버리, 바이오 R&D 전문 기업 티움바이오,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참여한다.

SK플라즈마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티움바이오와 희귀 난치성 질환 등 바이오 영역에서 공동 연구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희귀난치성 질환은 5000~8000여 종에 달하지만 대부분 질환에 대한 정확한 치료 방법이 없거나 승인받은 치료제가 한정적이다. 이 때문에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시장은 신약개발 분야의 블루오션으로 불린다. 큰 성장성뿐 아니라 신약 개발 임상 기간이 짧고 타 영역 대비 성공 확률이 높아 글로벌 시장 진입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강점이 있다.

김윤호 SK플라즈마 대표는 “이번 증자를 통해 기존 사업의 지속 성장을 이어가는 동시에 파트너사들과 함께 신규 바이오 영역에서 제 2의 도약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플라즈마는 △사람면역글로불린 리브감마에스앤주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로 이뤄진 사람면역글로불린의 헤파불린에스앤 주 △사람혈청 알부민 주 △에스케이항트롬빈III주 △테타불린에스앤주 등 다수 혈장분획제제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곧 발표, 일부 유연성 있을 것...애플도”
  • 언니 푸바오처럼…루이바오·후이바오도 독립할 준비 [해시태그]
  • 파생상품 ETF 출시한 리플…트럼프 밈코인은 80% 급락 [글로벌 코인마켓]
  •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혐의 전면 부인..."국민참여재판 원치 않아"
  • 이빨 빠진 타이거즈, 공포의 4연전 어떻게 넘기나…산 넘어 산 [주간 KBO 전망대]
  • 제로 아닌 탄산음료, 한 캔에 각설탕 11개 들어간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 아닌 '불꽃야구'로…방송 플랫폼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11,000
    • +1.18%
    • 이더리움
    • 2,369,000
    • +2.2%
    • 비트코인 캐시
    • 470,000
    • -5.92%
    • 리플
    • 3,104
    • +0.94%
    • 솔라나
    • 188,500
    • +2.17%
    • 에이다
    • 924
    • -0.43%
    • 이오스
    • 896
    • -0.44%
    • 트론
    • 366
    • -0.54%
    • 스텔라루멘
    • 3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00
    • -0.39%
    • 체인링크
    • 18,460
    • +0.71%
    • 샌드박스
    • 378
    • +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