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인플레 가속화, 공급 병목 현상 탓…공급 문제 해결돼야”

입력 2021-09-29 08: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플레 수개월 간 높게 유지되겠지만 다시 떨어질 것”
“미국 물가·고용, ‘새로운 현저한 진전’ 조건 거의 충족”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6월 22일 의회에 참석해 질문을 받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6월 22일 의회에 참석해 질문을 받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최근 인플레이션 상승세의 주원인으로 공급 병목 현상을 꼽았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그는 이날 상원 청문회에서 “물류의 정체나 일손 부족 등 공급 측면의 제약이 개선되기는커녕 경우에 따라서는 악화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가속화는 공급 병목 현상이 악화한 탓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이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급 측면의 문제가 해소될 필요가 있다. 나는 그렇게 될 것으로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파월 의장은 전날 미리 공개한 청문회 원고에서 공급 병목 현상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되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수개월 간 높게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경제 재개가 계속됨에 따라 병목 현상, 고용난, 그리고 다른 제약이 다시 커지고 예상보다 더 길어지면서,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도 “이러한 효과는 예상보다 더 크고 오래 지속됐지만, 그것은 수그러들 것이고 인플레이션은 우리의 장기적인 2% 목표를 향해 다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그는 이날 현재 미국 경제가 물가와 고용의 ‘새로운 현저한 진전’이라고 하는 조건을 “거의 충족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금리 인상을 검토하는 조건 중 하나가 되는 최대 고용에 대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앞서 연준은 지난 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끝난 뒤 성명에서 “조만간 자산매입 축소를 시작할 수 있다”며 연내 테이퍼링을 공식화했다. 아울러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서도 빠르면 내년으로 앞당겨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오늘 오후 3시 전원합의체 선고…TV 등 생중계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26조 원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 7일 최종 계약 [종합]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종합] 뉴욕증시, 미국 3년만 분기경제 역성장에 혼조 마감...다우 0.35%↑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721,000
    • +0.02%
    • 이더리움
    • 2,608,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29,000
    • -0.09%
    • 리플
    • 3,176
    • -1.95%
    • 솔라나
    • 214,100
    • +0.9%
    • 에이다
    • 992
    • -1.88%
    • 이오스
    • 970
    • -2.32%
    • 트론
    • 356
    • +1.14%
    • 스텔라루멘
    • 390
    • -3.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900
    • +0.09%
    • 체인링크
    • 20,910
    • -1.09%
    • 샌드박스
    • 424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