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도 전세대출 한도 '전셋값 증액 범위 내로' 제한

입력 2021-09-29 15: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B국민은행에 이어 전셋값 증액 범위 이내로 인정하는 방안 검토

▲[서울=뉴시스]박민석 기자 = 지난해 가계빚이 사상 처음으로 17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발표된 2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대출 창구에서 고객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2021.02.23. mspark@newsis.com (뉴시스)
▲[서울=뉴시스]박민석 기자 = 지난해 가계빚이 사상 처음으로 17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발표된 2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대출 창구에서 고객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2021.02.23. mspark@newsis.com (뉴시스)
금융당국이 연일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선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대출 한도를 축소하고 있다.

29일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임대차 계약 갱신 때 전세자금대출 한도를 '임차보증금(전셋값) 증액 범위 이내'로만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가령, 전세 보증금이 4억 원에서 6억 원으로 오른 경우 지금까지는 최대 80%인 4억8000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증액(2억원) 만큼만 받을 수 있다.

앞서 KB국민은행이 전세대출 한도를 전셋값 증액 범위 이내로 줄이기로 했는데 전 은행권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다만, 도입 시기는 조율 중이다.

은행권의 이같은 방침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다.

시중은행이 대출 한도를 축소하면 '풍선 효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 가팔라지는 만큼 가계대출 증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대응책이다.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권고한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는 5~6%다. NH농협은행과 하나은행은 이미 이같은 수준을 넘어서거나 목표치에 도달했다. KB국민은행도 4%대까지 올라섰다.

신한·우리은행도 안심할 수 없는 수준이다. 지난 24일 기준 신한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4.78%, 우리은행은 3.61%다. 다른 은행들이 대출을 조이면 대출 수요가 일시에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내부적으로 신한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율이 위험수준에 근접하면 대출 한도를 축소 조치할 수 있도록 시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도 가계대출 증가율이 금융당국이 제시한 연간 총량 규제 목표치 6%에 다다르면서 지난 23일부터 모기지신용보험(MCI)·모기지신용보증(MCG) 신규 가입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줄였다.

MCI는 주로 아파트, MCG는 다세대, 연립 등에 적용되는 대출이며, 이 보험 연계 주담대 상품을 제한하면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미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동일한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기업은행은 또 지난 23일부터 영업점이 아닌 개별 모집인(상담사)을 통한 모든 대출 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하나은행도 대출 모집 법인 6곳 중 3곳에 배정된 대출 한도가 모두 소진되면서 10월 말까지 대출 모집인을 통한 대출 영업을 중단한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킹 여파에 '탈 SKT' 행렬…하루만에 2만5000명 빠졌다
  • 韓, '대행 지명 금지' 헌재법 거부권…"대통령 임명권 형해화"
  • 속보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주불 진화…발생 23시간만
  • 이승기, 무거운 소식 전했다…"장인어른 사건 참담, 처가와 관계 단절할 것"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한국 취업 너무 힘들어요”…다시 짐싸는 K-유학생들 [두뇌유출 中]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 …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3: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621,000
    • +0.89%
    • 이더리움
    • 2,599,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542,000
    • +7.65%
    • 리플
    • 3,300
    • +1.41%
    • 솔라나
    • 212,600
    • -0.89%
    • 에이다
    • 1,018
    • +0.1%
    • 이오스
    • 990
    • +1.23%
    • 트론
    • 358
    • +1.7%
    • 스텔라루멘
    • 407
    • -1.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00
    • -2.14%
    • 체인링크
    • 21,740
    • +1.68%
    • 샌드박스
    • 435
    • +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