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인강 4위' 스카이에듀 문 닫나

입력 2021-10-18 17: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속 강사, 게시판에 “올해 문 닫는다” 인사 글 남겨
정시 축소ㆍ수능생 감소로 적자…사측 "정해진 것 없다"

▲(사진 = 스카이에듀 홈페이지 캡처)
▲(사진 = 스카이에듀 홈페이지 캡처)

수학능력시험(수능) 인터넷 강의 업체 스카이에듀의 사업 철수설이 나오고 있다.

18일 교육업계에 따르면 최근 스카이에듀 강사 A 씨는 본인의 학습 게시판에 한 학생이 공부 관련 문의와 함께 강의에 대한 감사를 표하자 “올해로 스듀(스카이에듀)가 문을 닫는다고 한다”며 “처음이자 마지막 인강을 들어줘 감사하다”고 답했다. 현재 이 글은 삭제된 상태다.

스카이에듀는 2002년 윤리 강사 이현이 크레지오에듀를 인수한 뒤 브랜드 이름을 '스카이에듀'로 바꾸며 출범했다.

2005년부터는 학원을 설립해 인터넷 강의와 오프라인 학원을 동시에 운영하는 형태로 변모했다. 2013년에는 위너스터디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고, 2014년에는 에스티앤컴퍼니(현 에스티유니타스)에 인수돼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메가스터디, 대성마이맥, 이투스와 함께 수능 인터넷 강의 사이트 빅4로 꼽힌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전하고 있다. 지난해 스카이에듀 매출액은 142억 원으로 전년(291억 원) 대비 반토막 났다. 영업이익도 마이너스(-)를 이어오고 있다.

다른 업체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수능 인터넷 강의 업계는 과거 폭발적인 성장세와 호황을 이어왔지만, 정시 선발 비중 축소 움직임에 타격을 받고 있다.

여기에 주 고객층인 수능 응시자 수도 줄고 있다. 2012학년도 69만3000명에 육박했던 수능 응시자는 2021학년도 49만3000명으로 수능 시행 이후 처음 40만 명대로 줄었다.

이에 업계 1위 메가스터디 매각설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업계 2위 이투스교육도 최대 주주인 사모펀드 앵커에쿼티파트너스에 의해 매각이 추진 중이다.

사업 철수 의혹에 대해 스카이에듀 모회사 에스티유니타스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회사 관계자는 “내부에서 얘기가 나온 건지는 모르겠지만 정해진 게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이 핑계로 미루고, 저 핑계로 늦추고"…개점휴업 연금특위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PASS 앱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 여전히 '먹통'…"서비스 재개 언제?"
  • 카카오, 드디어 AI '카나나' 첫 선…분위기 반전 노린다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막 오른 위성통신 경쟁…스타링크·원웹 韓 진출 임박, 아마존은 아직
  •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만건 육박…2021년 이후 최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000,000
    • -0.43%
    • 이더리움
    • 2,599,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511,000
    • -5.37%
    • 리플
    • 3,137
    • -0.73%
    • 솔라나
    • 211,700
    • -2.85%
    • 에이다
    • 1,006
    • -3.08%
    • 이오스
    • 975
    • -5.06%
    • 트론
    • 364
    • +3.12%
    • 스텔라루멘
    • 412
    • -1.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800
    • -3.04%
    • 체인링크
    • 21,070
    • -3.04%
    • 샌드박스
    • 436
    • -3.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