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소음 단위, 2023년부터 LdendB로 바뀐다…데시벨과 유사

입력 2021-11-0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천국제공장 주기장.  (연합뉴스)
▲인천국제공장 주기장. (연합뉴스)
2023년부터 항공기 소음을 측정하는 단위가 엘디이엔(LdendB)으로 변경된다. LdendB은 우리에게 익숙한 데시벨(dB)과 유사하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기 소음 단위 변경과 소음 피해지역 내 지역기업을 우대하는 내용을 담은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9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에 따라 민간공항의 항공기 소음을 측정하는 단위가 2023년 1월 1일부터 현재 웨클(WECPNL)에서 도로, 철도 등 다른 교통수단이나 생활소음에서 사용하는 데시벨과 유사한 LdendB(Level d:day, e:evening, n:night) 단위로 변경된다.

웨클은 항공기 통과 시 최고 소음도를 기준으로 소음영향을 평가하기 때문에 항공기 소음 발생 시 지속시간에 관한 보정이 안되지만 LdendB은 항공기 통과 시 평균 소음도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웨클보다 낮은 값을 갖지만, 지속시간을 반영할 수 있다.

소음 단위가 그간 주민 체감도가 낮았던 웨클에서 LdendB으로 변경되면 항공기 소음도 다른 교통수단의 소음이나 생활소음 크기와 쉽게 비교할 수 있고 이해하기도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내년에 새로운 소음 단위를 적용해 피해지원사업을 시행하게 될 소음대책 지역을 6개(인천, 김포, 김해, 제주, 울산, 여수) 공항별로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개정안에서는 공항운영자 등이 공항 주변 소음피해 지역에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우대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소음대책지역 및 인근지역에 위치한 기업에게는 공항운영자 등이 시행하는 건설공사나 전기‧통신‧소방공사, 물품의 제조‧구매, 용역 계약에 있어서 다른 지역 기업보다 우대할 수 있게 된다.

주종완 국토부 공항정책관은 “공항 주변의 소음피해 저감을 위해 항공기 소음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주민 수요 맞춤형 소음대책사업 등을 지속해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5기, 두 커플 탄생했지만…처참한 라이브 분위기, 현커 여부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737,000
    • -1.43%
    • 이더리움
    • 2,530,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517,500
    • +0.49%
    • 리플
    • 3,097
    • -4.09%
    • 솔라나
    • 212,200
    • -2.08%
    • 에이다
    • 979
    • -2.1%
    • 이오스
    • 925
    • -3.95%
    • 트론
    • 350
    • -0.85%
    • 스텔라루멘
    • 376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410
    • -1.94%
    • 체인링크
    • 20,630
    • -2.27%
    • 샌드박스
    • 414
    • -2.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