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크래프톤, ‘배그 모바일’ 항저우 아시안게임 종목 채택 소식에 ‘상승세’

입력 2021-11-09 13: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오는 2022년 개최되는 중국 항저우 아시안게임 종목으로 채택됐다는 소식에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9일 오후 1시 20분 기준 크래프톤은 전일 대비 3.85%(1만7000원) 오른 45만8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아시안게임 버전을 비롯해 리그 오브 레전드, 펜타스톰 아시안게임 버전, EA 스포츠 피파, 도타2, 하스스톤, 스트리트 파이터 5, 몽삼국2 등 8개 게임을 선정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크래프톤 계열사인 펍지 스튜디오가 2018년 텐센트와 공동 개발해 출시한 게임이다. 현재까지 전 세계 다운로드 건수는 10억 건 이상이다. 크래프톤은 향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아시안게임 버전’을 개발해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크래프톤은 오는 11일 신작 ‘배틀그라운드: 뉴 스테이트’ 출시를 앞두고 있어 증권가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크래프톤의 신작 ‘뉴 스테이트’ 출시에 따른 2022년 매출액을 올해 대기 43% 증가한 2조8000억 원으로, 영업이익을 47% 증가한 1조25000억 원으로 전망한다”며 “앞선 10월 말 미국의 콘솔 소프트웨어 기업 ‘언노운월즈’를 8788억 원에 인수했고 2022년 중 자체 콘솔 신작 ‘칼리스토 프로토콜’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콘솔과 더불어 크래프톤의 중장기 사업 다각화 방향은 지적재산권(IP) 사업”이라며 “이는 펍지유니버스를 중심으로 배틀그라운드의 스토리를 구축하고 이를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웹툰 등 다양한 형태로 콘텐츠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크래프톤은 언노운월즈 인수합병(M&A) 이후에도 순현금 4조 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대규모 제작사 인수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630,000
    • -3.82%
    • 이더리움
    • 2,185,000
    • -7.61%
    • 비트코인 캐시
    • 403,900
    • -4.42%
    • 리플
    • 2,682
    • -7.8%
    • 솔라나
    • 156,000
    • -6.02%
    • 에이다
    • 838
    • -7.4%
    • 이오스
    • 997
    • -10.82%
    • 트론
    • 342
    • -2.84%
    • 스텔라루멘
    • 326
    • -7.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8,970
    • -3.78%
    • 체인링크
    • 16,780
    • -4.28%
    • 샌드박스
    • 356
    • -2.7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