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교육 산업 숨통 트이나…정부, 일부 기업에 라이선스 허용 계획

입력 2021-11-09 16: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비영리 재단 설립해 운영…정부가 수업료 상한선 정해"
성인 대상으로는 영리 목적 사업 운영 인정

▲10월 9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모습이 보인다. 베이징/AP뉴시스
▲10월 9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모습이 보인다. 베이징/AP뉴시스
중국 정부가 방과후 학습 지도 서비스 관련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라이선스를 발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방안이 현실화하면 정부 규제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았던 교육 서비스 분야에 약간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현지시간)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가오투테크와 텐센스홀딩스가 투자한 위안푸다오 등 온라인 교육 서비스 기업들이 최근 수 주 동안 9학년 이하 학생에 대한 개별 지도 서비스가 재개될 수 있도록 규제 당국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새로운 라이선스 제도에서 교육 서비스 기업들은 직업 교육, 전문직 시험 준비 등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영리 목적의 사업 운영을 인정받는다. 방과후 학습 지도는 비영리 제공을 의무화하고, 정부는 방과 후 학습지도서비스에 대해 기업이 청구할 수 있는 가격에 상한선을 둘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허가를 받은 기업들은 방과 후 학습지도서비스 수익을 환수·관리하는 비영리단체를 의무적으로 설립해 운영해야 한다. 이 결정은 이달 중 발표될 전망이며, 몇 개의 회사가 허가를 받을 수 있을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이러한 비영리 단체는 법률에 의해 공적 기부금을 요구하지 못하고, 중국 민정부 산하 별도의 기관으로 등록돼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중국 지도부는 교육비 상승으로 빈부 격차가 확대되고 출생 수가 억제될 것을 우려, 지난 7월 영리 목적의 교육 서비스와 주말 및 공휴일 학습 지도를 금지했다. 또 사교육 기관이 기업공개(IPO)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규제했다. 이러한 규제는 시장에 충격을 주며 한동안 교육 서비스 기업의 주가를 끌어내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1: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40,000
    • -1.14%
    • 이더리움
    • 3,434,000
    • -2.55%
    • 비트코인 캐시
    • 559,500
    • -2.27%
    • 리플
    • 3,443
    • +2.99%
    • 솔라나
    • 238,200
    • -2.7%
    • 에이다
    • 1,105
    • -2.73%
    • 이오스
    • 1,195
    • -7.65%
    • 트론
    • 372
    • -0.53%
    • 스텔라루멘
    • 423
    • -2.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300
    • -6.62%
    • 체인링크
    • 22,910
    • -3.98%
    • 샌드박스
    • 479
    • -4.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