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정오] 코스피 3018.14p, 상승세 (▲26.42p, +0.88%) 지속

입력 2021-12-08 12: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피시장이 기관과 외국인의 ‘쌍끌이’ 매수세에 장 중반에도 상승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8일 정오 현재 코스피지수는 26.42포인트(+0.88%) 상승한 3018.14포인트를 나타내며, 302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기관과 외국인이 ‘쌍끌이’ 매수를 보이고 있으며, 개인만 홀로 매도 중이다.

기관은 6161억 원을, 외국인은 420억 원을 각각 매수 중이며 개인은 6321억 원을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은 의약품(+1.21%) 업종의 상승이 눈에 띄는 가운데, 통신업(+0.90%) 유통업(+0.63%) 등의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섬유·의복(-0.50%) 등의 업종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기계(+0.62%) 비금속광물(+0.60%) 종이·목재(+0.57%)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 중이며, 건설업(-0.13%) 등의 업종은 하락 중이다.

삼성전자가 0.65% 오른 7만7900원을 기록 중이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9개 종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LG화학이 5.34% 오른 74만9000원을 기록 중이고, 카카오페이(+3.86%), 삼성바이오로직스(+3.31%)가 상승 중이다.

그 외 유유제약2우B(+17.65%), 국동(+13.97%), 수산중공업(+12.67%)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일동홀딩스(-7.28%), 씨아이테크(-5.33%), 송원산업(-5.15%) 등은 하락하는 중이다.

현재 498개 종목이 상승 중이며 356개 종목이 하락, 7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176원(-0.29%)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 엔화는 1036원(-0.24%), 중국 위안화는 185원(-0.02%)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의대 증원’ 새 국면…수업복귀 시간 끌기 들어가나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6호선 한강진역 오후 1시 15분부터 정상운행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14:1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56,000
    • -1.86%
    • 이더리움
    • 2,637,000
    • -3.16%
    • 비트코인 캐시
    • 447,400
    • -0.84%
    • 리플
    • 3,020
    • -1.79%
    • 솔라나
    • 169,600
    • -4.77%
    • 에이다
    • 955
    • -1.65%
    • 이오스
    • 1,207
    • -0.66%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80
    • -2.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070
    • -3.08%
    • 체인링크
    • 18,660
    • -4.75%
    • 샌드박스
    • 384
    • -2.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