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화물차 달린다…5대 1년간 시범운행ㆍ2030년까지 1만 대 보급

입력 2021-12-23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년 4월부터 수소연료보조금, 구매 시 4.5억 보조금 지급

▲수소화물차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수소화물차 (사진제공=국토교통부)
탄소배출 없는 수소화물차가 첫 화물 운송을 시작한다. 정부는 올해 시범운영 5대를 시작으로 2030년 1만 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일산 킨텍스에서 현대자동차와 함께 대형 수소화물차(11톤급) 시범운영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와 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 쿠팡 등 물류기업이 참석했다.

도로화물 운송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2800만 톤(추정)으로 수송분야 전체 탄소배출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현재 소형화물차는 전기차가 출시돼 활용되고 있으나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대형화물차는 친환경 차량이 출시되지 않았다.

국토부는 대형화물차의 경우 운행 거리, 출력 등에서 전기차보다 수소차가 경쟁력(10톤 화물차 1대를 친환경차로 전환 시 1톤 화물차 13대를 전환하는 효과)이 있는 점을 감안, 수소차를 중심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시범사업을 통해 운영되는 수소화물차는 총 5대로 CJ대한통운 2대(인천~인천공항/인천~경기광주), 현대글로비스 2대(울산~경주/울산~양산), 쿠팡 1대(인천서구~영종도)가 투입되며 앞으로 1년간 국제특송화물, 강판 등을 회사당 1000~1500회 운송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향후 수소화물차 상용화에 대비해 시범운영 기간 수소화물차의 성능을 점검하고 수소 소모량 등 향후 수소 기반 물류 시스템 확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화물차 1만 대를 보급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대책을 마련한다. 우선 2028년까지 수소차 전 차종에 대한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88만대의 수소차 보급을 목표로 수소차 관련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주요 물류거점에 대용량 충전소를 매년 2곳씩 구축하며 수소차가 전국 어디서나 20분 내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도록 2030년까지 총 660기의 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수소화물차 구매 부담 완화를 위해 지자체와 함께 1대당 최대 4억5000만 원의 구매 보조금과 내년 4월부터는 수소연료보조금도 지급한다. 아울러 수소화물차 구매 시 취득세 감면 등 세제 혜택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노형욱 국토부 장관은 “우리나라 기술로 수소화물차가 개발되고 시범사업을 하게 돼 더욱 의의 깊다"며 "이번 시범사업이 대형 화물차의 친환경 차량 전환 계기가 돼 탄소중립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410,000
    • -1.91%
    • 이더리움
    • 2,315,000
    • -3.14%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0%
    • 리플
    • 3,058
    • -2.18%
    • 솔라나
    • 185,000
    • -4.15%
    • 에이다
    • 927
    • -3.13%
    • 이오스
    • 886
    • -11.93%
    • 트론
    • 367
    • +2.51%
    • 스텔라루멘
    • 344
    • -3.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830
    • -6.16%
    • 체인링크
    • 18,230
    • -4.95%
    • 샌드박스
    • 373
    • -4.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