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디지털일자리사업' 15.6만 명 취업 지원…60% 정규직으로

입력 2022-01-1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용부 "비교적 안정적 일자리 제공" 평가…부정수급 83건 적발

▲취업 희망자들이 기업 취업공고 게시판을 보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취업 희망자들이 기업 취업공고 게시판을 보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코로나19 여파로 가중된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으로 청년 15만6000명이 취업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60% 정도가 정규직으로 채용ㆍ전환됐다.

고용노동부는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이 시작된 2020~2021년 기간 동안 4만2000개 기업을 지원해 15만6000명의 청년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은 5인 이상 중소ㆍ중견기업 등이 청년을 IT 직무 분야에 채용 시 인건비 월 최대 190만 원씩 최장 6개월간 지원하는 사업으로, 코로나19 고용 위기 극복 일환으로 추진됐다.

취업 지원을 받은 청년 15만6000명 중 9만5000명(60.1%)이 정규직으로 채용 또는 전환됐으며, 11만5000명(74%)은 6개월 이상 근로해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이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했다고 고용부는 평가했다.

참여기업 역시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에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인건비 부담이 줄어 채용을 확대하고, 온라인 사업 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날 지난해 9월 27일~11월 30일 진행된 '하반기 부정수급 집중점검기간' 운영 결과도 공개됐다. 일부 기업에서 청년디지털일자리사업 지원금을 부정하게 받는 사례들이 늘어 면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점검이 이뤄졌다.

총 2991개 기업을 대상으로 점검한 결과 77개 기업에서 83건의 부정수급·부당이득 의심 사례가 적발됐다. 이 중 16건은 부정수급으로 확정해 부정수급액 5억4000만 원의 반환을 명령하고, 25억7000만 원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했다.

착오 지급 등 부당이득 9건에 대해서도 총 8000만 원의 반환명령을 했다. 나머지 의심 사례인 57건에 대해서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고용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반환명령, 제재부가금 부과 및 필요 시 형사고발까지도 진행할 방침이다.

고용부는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의 지원금이 올해까지 지원되는 점을 고려해 올해 상반기에도 부정수급 집중점검기간을 운영한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69,000
    • +0.36%
    • 이더리움
    • 2,345,000
    • -2.9%
    • 비트코인 캐시
    • 474,800
    • -3.04%
    • 리플
    • 3,117
    • +0.06%
    • 솔라나
    • 189,600
    • -1.1%
    • 에이다
    • 912
    • -2.77%
    • 이오스
    • 868
    • -3.23%
    • 트론
    • 360
    • -2.96%
    • 스텔라루멘
    • 349
    • -1.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30
    • -0.68%
    • 체인링크
    • 18,060
    • -4.55%
    • 샌드박스
    • 370
    • -3.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