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정오] 코스닥 932.72p, 하락세 (▼11.22p, -1.19%) 지속

입력 2022-01-19 12: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하락 출발했던 코스닥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 기조에 장 중반에도 지속 하락 중이다.

19일 정오 현재 코스닥지수는 11.22포인트(-1.19%) 하락한 932.72포인트를 나타내며, 93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은 매수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매도 중이다.

개인은 785억 원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116억 원을, 외국인은 640억 원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교육서비스(+0.21%)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광업(0.00%) 전기·가스·수도(-2.74%) 등은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건설(-1.54%) 숙박·음식(-1.39%) 운송(-1.16%) 등의 업종이 하락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3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셀트리온제약이 3.05% 오른 8만7900원을 기록 중이고, 셀트리온헬스케어(+1.08%), 씨젠(+0.3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그밖에 크루셜텍(+27.76%), 앱코(+26.34%), 와이제이엠게임즈(+20.94%)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엠투엔(-29.74%), 피제이전자(-10.92%), 지아이텍(-7.38%) 등은 하락하는 중이다. 손오공(+29.98%) 등이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현재 296개 종목이 상승 중이며 1093개 종목이 하락, 71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193원(+0.03%)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 엔화는 1040원(+0.08%), 중국 위안화는 188원(+0.01%)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29,000
    • +0.07%
    • 이더리움
    • 2,538,000
    • -1.4%
    • 비트코인 캐시
    • 506,500
    • -2.22%
    • 리플
    • 3,166
    • -0.6%
    • 솔라나
    • 218,300
    • +1.02%
    • 에이다
    • 1,044
    • +3.47%
    • 이오스
    • 976
    • +1.56%
    • 트론
    • 355
    • +0.85%
    • 스텔라루멘
    • 399
    • +3.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040
    • -0.07%
    • 체인링크
    • 21,510
    • +0.56%
    • 샌드박스
    • 429
    • +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