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부상으로 제대한 청년 유공자를 대상으로 전국 최초 맞춤 지원을 시작한다. 장애인 가구 등에 대한 생계부담도 덜어주기로 했다.
서울시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2년 달라지는 서울복지'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안심 고령친화도시’ 서울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장애인ㆍ저소득층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 △청년 부상 제대군인 지원과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 △돌봄SOS센터, 425개 모든 동에서 실시 등이다.
우선 ‘안심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속도를 낸다. 노인 요양시설, 안심 병원 동행서비스, 서울형 좋은돌봄인증, 데이케어센터 등 돌봄 인프라를 확대한다. 현재 36개인 공공 요양시설을 2025년 43개로 늘리고, 저소득 어르신 3만5000명에게 ‘안심 병원 동행서비스’ 등 맞춤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인과 저소득층 부담도 줄인다. 전동휠체어, 스쿠터 등을 이용하는 저소득 장애인을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의 전동보장구 수리비를 지원하고, 중증장애인 10만 세대 수도요금도 올해 5월 납기분부터 감면한다.
관련 뉴스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안정적인 일자리 발굴에도 나선다. 지난해에도 3410개 공공일자리를 제공했었다. 올해는 4000여 개 공공일자리를 비롯해 민간 취업, 직업 재활시설 일자리 등 당사자의 욕구를 반영한 양질의 공공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장년층ㆍ어르신을 위한 일자리도 확대한다. 취약계층 가사지원, 초등돌봄시설 안전관리 등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포함해 어르신 공공일자리를 7만6135개로 확대키로 했다.
청년 부상 제대군인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만 19~39세 청년 부상 제대군인이 다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법률상담, 심리 재활, 일자리 등 4개 분야 7개 지원사업을 3월부터 본격 시작한다.
참전 명예수당, 보훈 예우수당 대상은 확대된다. 만 65세 이상 참전유공자와 민주화ㆍ특수임무 유공자 중 기존 미지원 대상이었던 상이군인, 고엽제 후유의증자 1만3000여 명도 수당 대상자에 포함해 총 4만4000여 명의 유공자들이 수당을 받게 된다.
이 밖에도 '돌봄SOS센터'를 서울 전역 425개 동에서 실시하고,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기준도 중위소득 100%ㆍ재산 3억7900만 원 이하로 기준을 완화한다.
구종원 서울시 복지기획관은 "서울시는 촘촘한 서울형 복지를 구현해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고통받는 취약계층ㆍ위기 가구가 어두운 터널을 무사히 지날 수 있도록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