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 금융권 “금융투자로 자산 증식하는 문화 형성되기를”

입력 2022-03-10 13: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나재철 금융투자협회 회장(왼쪽),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 (사진=금융투자협회,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나재철 금융투자협회 회장(왼쪽),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 (사진=금융투자협회,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증권업계 인사들은 1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자본시장 활성화와 규제 개혁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금융투자업에 대한 세제 지원과 신기술에 대한 지원도 요구했다.

이날 나재철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하려면 자본시장 활성화가 필수적”이라며 “자본시장을 통해 자산을 증식하는 문화가 형성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나 회장은 “자본시장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기업에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라며 “모험자본 공급이 자본시장 중심으로 전환되도록 자본시장 제도를 개선하고 금융투자 관련 세제를 선진화해 미래에 지속가능한 자본시장 투자 환경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주식투자 인구 천만 명 시대를 맞이했다”며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제도 도입, 중계형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가입자의 증가, 펀드 1000조 원 시대를 맞이한 것을 보면 국민이 자본시장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 보호는 강화하되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에 대응해 글로벌 정합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자본시장이 중산·서민층의 건전한 재산형성의 터전이 될 수 있도록 육성해 달라”라고 강조했다.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은 “새 정부가 국정을 이끌어 나아 갈 5년은 코로나19 장기화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급변하는 글로벌 경쟁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평가했다.

그는 “전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이 각종 규제로 인해 뒤처지고 역차별당하지 않도록 새정부는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규제 개혁을 최우선순위로 해 우리나라가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주었으면 한다”라고 요청했다.

정 회장은 “우리 기업들은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에 매진해 국가 경제발전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할 것”이라면서 “윤석열 후보의 제20대 대통령 당선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새정부의 성공을 기원한다”라고 축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버핏 빈자리 메울까…에이블의 버크셔에 쏠린 눈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韓 의약품에 美 관세?…정부 “공급망 안정 기여, 관세조치 불필요”
  •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세종 아파트, 전세도 '들썩'…"공급 가뭄에 오를 수밖에"
  • 국힘 대선후보 단일화 격랑…金 "후보 일정 중단", 韓 "실패하면 국민 배신"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870,000
    • +0.19%
    • 이더리움
    • 2,516,000
    • -1.99%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0.7%
    • 리플
    • 2,994
    • -1.35%
    • 솔라나
    • 203,000
    • -1.36%
    • 에이다
    • 926
    • -1.38%
    • 이오스
    • 974
    • -2.99%
    • 트론
    • 348
    • -2.25%
    • 스텔라루멘
    • 364
    • -1.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400
    • -3.36%
    • 체인링크
    • 19,030
    • -2.06%
    • 샌드박스
    • 378
    • -2.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