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 "올해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2400억 투입…레벨4 체계 마련"

입력 2022-03-16 10: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억원 기재부 1차관, 서울 상암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방문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이 3월 16일 서울 마포구 소재 미래모빌리티센터를 방문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이 3월 16일 서울 마포구 소재 미래모빌리티센터를 방문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올해 24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인지예측센서 등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하겠다"며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 필수적인 안전성 평가 기준 및 보험체계를 2024년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억원 차관은 이날 서울 상암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를 찾아 현장점검과 함께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디지털 뉴딜의 핵심이자 통신, 플랫폼 등 다양한 산업들과의 수평적 협업을 기반으로 미래 핵심산업이 될 자율주행 산업의 혁신성과 확장성이 크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방문은 올해부터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레벨3 자율주행차를 출시하는 동시에 레벨4 자율주행 기술개발 경쟁을 본격화한 상황에서 정책적 제언을 듣기 위해서다.

이 차관은 "대중교통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개발에도 전력을 다하겠다"며 "특히, 센서, 라이다 등 자율주행 핵심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해 올해부터 본격 착수한 1조1000억 원 규모의 범부처 기술개발(R&D) 사업이 향후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세종·광주 등 규제자유특구 운영을 통해 민간기업의 자유로운 기술 및 서비스 실증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10월 자율주행산업협회가 공식 출범하는 등 자동차와 통신, 플랫폼 업계가 협업을 강화해나가는 상황에서 이러한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도 현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나가겠다"며 "오늘 간담회에서 제기된 의견들을 최대한 수렴해 지속적으로 정부 정책에 반영하는 등 자율주행 혁신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0: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391,000
    • -1.34%
    • 이더리움
    • 3,470,000
    • -2.25%
    • 비트코인 캐시
    • 569,000
    • -0.96%
    • 리플
    • 3,510
    • +4.65%
    • 솔라나
    • 241,400
    • -1.59%
    • 에이다
    • 1,127
    • -1.49%
    • 이오스
    • 1,212
    • -6.12%
    • 트론
    • 378
    • +1.07%
    • 스텔라루멘
    • 434
    • -0.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400
    • -5.14%
    • 체인링크
    • 23,180
    • -4.02%
    • 샌드박스
    • 493
    • -2.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