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등록금 반환소송서 강평자료 신경전 "비효율vs손배산정에 필요"

입력 2022-04-07 15: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대학교, 인천대학교 ((왼쪽부터)서울대학교, 인천대학교)
▲서울대학교, 인천대학교 ((왼쪽부터)서울대학교, 인천대학교)

국립대 학생들이 학교법인과 정부를 상대로 낸 등록금 반환소송에서 강의 평가 자료 제출 여부를 두고 신경전이 벌어졌다.

서울중앙지법 민사31부(재판장 김지숙 부장판사) 심리로 7일 열린 재판에서 정부 측 대리인은 "학생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수업을 들었는지 알아야 평가서를 제공할 수 있다"며 "한·두개가 아닐텐데 제출은 비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학생 측 대리인은 수업 내용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이를 근거로 손해배상액을 산정하고, 코로나19로 인해 강의의 질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재판부 역시 "실험 실습비나 시설이용료 등이 실제로 필요했고 사용됐는지를 보려면 수업 내용이 밝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 측 대리인은 평가 자료 제출에 대한 의견을 서면으로 내겠다고 답했다.

학생 측 대리인은 "국립대는 온라인 강의가 굳이 필요 없는데 코로나19를 이유로 진행했다"며 "사립대학교 상대로 등록금 반환 소송을 진행할 때 재판부가 인용한 자료를 요청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판이 끝난 뒤 학생 측 대리인은 취재진에게 "학교법인은 1인당 교육비가 등록금을 훨씬 뛰어넘는다고 주장한다"면서 "국립대이기 때문에 세금이 투입되는 것인데 당연히 교육비가 충분히 들어가야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강의의 질이 낮아졌다는 학생들의 지적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부 측 대리인은 사립대에서 등록금을 반환한 사례가 없다고 주장한다"면서 "반환이 아니라 2학기 등록금의 8~10% 정도를 감면해줘서 그런 것이고 국립대는 그런 적이 없었으니 해결책을 마련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학생 측 대리인은 "국립대는 원래 무상이지만 영조물 이용 등을 이유로 등록금을 걷어간다"면서 "코로나19로 활용 자체가 안됐기 때문에 반환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2020년 7월 국립대 학생 400여 명은 "코로나19 유행 후 수업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학교 시설도 제대로 이용할 수 없었던 만큼 등록금 일부를 돌려달라"며 서울대·인천대 학교법인, 국가를 상대로 등록금 환불 청구 소송을 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911,000
    • +1.45%
    • 이더리움
    • 2,604,000
    • +2.48%
    • 비트코인 캐시
    • 540,500
    • +5.77%
    • 리플
    • 3,169
    • +0.22%
    • 솔라나
    • 219,500
    • -0.09%
    • 에이다
    • 1,043
    • +1.26%
    • 이오스
    • 1,001
    • +2.04%
    • 트론
    • 350
    • -0.28%
    • 스텔라루멘
    • 417
    • +3.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00
    • +39.6%
    • 체인링크
    • 21,890
    • +1.86%
    • 샌드박스
    • 459
    • +5.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