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안정화 양상...15일 거리두기 전면해제 발표되나

입력 2022-04-10 14: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가 한산한 모습이다. (사진제공=뉴시스)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가 한산한 모습이다. (사진제공=뉴시스)

신규 확진 이틀째 10만 명대...2~3주 내 10만 명 초반 예상
실내마스크 착용 등 일부 방역수칙 남기고 해제 가능성
일상회복 위한 ‘포스트 오미크론 방역ㆍ의료 대응체계'도 관심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10만 명대를 기록하는 등 오미크론 유행이 안정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앞서 예고한 대로 이번 주 실내마스크 등 일부 방역수칙만 남기고 모든 거리두기 조치를 해제하는 방안을 발표할 가능성이 커졌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16만4481명 증가한 1533만367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20만 명 아래로 내려간 전날(18만5566명)보다 2만1085명 줄면서 이틀째 10만 명대를 지속했다. 다만 검사 건수가 감소하는 주말엔 확진자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 만큼 주 중반에 확진자 수도 다시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주 중반 확진자수가 다시 증가하더라도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등 국내 다수의 연구팀은 2∼3주 내 10만 명대 초반까지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일 확진자는 지난달 18일 유행 정점을 찍은 바 있다.

이처럼 오미크론 유행이 안정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정부가 15일 실내마스크 착용 등 극소수 방역수칙만 남기고 현행 거리두기 조치를 모두 해제하는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부는 1일 ‘사적모임 10인ㆍ영업제한 밤 12시 적용(4~17일)’의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 이후 이러한 거리두기 해제 방침을 거듭 시사해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6일 브리핑에서 “거리두기가 사회·경제적 피해를 야기하고,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며 “조만간 해제 수순에 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주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때 방역·의료체계의 ‘일상회복’을 목표로 한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체계’ 방안이 제시될 지도 관심사다. 정부는 의료역량과 코로나19 대면진료 활성화를 고려해 일단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결핵, 수두, 홍역과 같은 ‘2급’으로 한 단계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등급이 하향 조정된다면 확진자의 격리기간이 줄어들거나 격리 의무 자체가 아예 해제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의료기관들은 격리병상 수를 줄이고, 격리병상 운영에 투입됐던 인력과 자원을 다른 곳에 활용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포스트 오미크론 시대 대응이 필요하지만 신종 변이 발생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주문한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일상회복으로 가는 길에 신종 변이 출현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이를 경계해야 한다”며 “병상의 경우 상황을 보고 천천히 감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17,000
    • -0.19%
    • 이더리움
    • 2,628,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2.28%
    • 리플
    • 3,141
    • -0.1%
    • 솔라나
    • 209,200
    • -1.04%
    • 에이다
    • 991
    • -1.29%
    • 이오스
    • 1,015
    • -2.78%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85
    • -0.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550
    • -1.87%
    • 체인링크
    • 20,180
    • -2.32%
    • 샌드박스
    • 400
    • -3.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