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인 "'성장' 통해 양극화 문제 해소할 것"

입력 2022-04-29 13: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 당선인, 나노종합기술원 방문해 카이스트 학생들과 간담회 등 진행
"성장하게 되면 계층 이동 기회 많아져 사회 갈등 많이 줄어들 것"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도 강조
윤 당선인 "4차 산업혁명 선도과정에서 반도체는 핵심 산업"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나노종합기술원을 방문, 학생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나노종합기술원을 방문, 학생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9일 "양극화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성장"이라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대전 유성구 나노종합기술원에서 열린 카이스트(KAIST) 학생들과의 간담회에서 "우리 사회 갈등 비용이 굉장히 크다.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양극화 해소 방안으로 성장을 꼽은 것에 대해서는 "성장하게 되면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지고 소득도 높아진다"며 "개인적으로도 계층 이동 기회가 많아지면서 사회 갈등이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간담회에서 성장 원동력으로 과학 기술을 언급했다. 그는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자본을 아무리 많이 투입해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우리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은 자본노동 투입이 아닌 과학기술"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과거 (우리나라가) 농업 국가에서 공업 국가로 변신하는 등 50년 전과 마찬가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카이스트 학생 연구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정부를 맡게 되면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해 2차 산업 투자를 넘어서서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 국민들이 낸 세금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나노종합기술원 직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 당선인은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최근 총으로 전쟁하는 게 아니라 반도체로 전쟁한다는 말이 있다"며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과정에서 반도체는 핵심 전략 산업"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초강대국을 만들기 위해) 민관이 공동으로 기술 개발과 인력을 양성하는 산학협력 플랫폼을 구축, 대학과 기업의 연구성과가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연구개발에 고생하는 분들에게도 정당한 보상이 이뤄질 수 있는 여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공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75,000
    • +3.05%
    • 이더리움
    • 3,273,000
    • +18.37%
    • 비트코인 캐시
    • 580,500
    • +0.43%
    • 리플
    • 3,337
    • +7.2%
    • 솔라나
    • 240,700
    • +10.26%
    • 에이다
    • 1,107
    • +8.96%
    • 이오스
    • 1,197
    • +1.01%
    • 트론
    • 367
    • +3.97%
    • 스텔라루멘
    • 420
    • +8.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50
    • +5.05%
    • 체인링크
    • 22,590
    • +7.78%
    • 샌드박스
    • 462
    • +12.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