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분기실적을 발표하기 시작한 2000년 3분기 이래 지난해 4분기에 첫 분기적자를 낼 정도로 어려운 상황에서, 연봉 동결은 비용절감 차원에서 받아들일 수 있지만 야근 교통비 폐지와 같이 임직원 복리후생까지 줄이는 것은 지나치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초일류 기업은 수익성을 올리기 위해 어려운 시기일수록 오히려 직원들의 복리후생을 강화한다”면서 “이 정도까지 비용절감에 나서는 것은 삼성전자가 현재의 위기상황을 아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삼성 안팎에서도 삼성전자가 위기의식을 크게 느끼고 있다는 데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김은환 수석연구원은 “삼성전자는 다른 어떤 기업보다도 비용절감에 강한 회사”라면서 “워낙 많이 조여진 상황에서 약간 무리한 수까지 나온 것인데…(현재 경제상황을) 아주 위기라고 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10년 넘게 삼성전자에서 근무했던 한 관계자는 “IMF환란 당시에는 비용절감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나눠주던 비품중 하나인 볼펜 지급을 중단하고 볼펜심만 제공하기도 했다”고 말해 삼성전자의 비용절감이 ‘마른 수건을 짜는 것’ 이상이었음을 짐작케 했다.
하지만 절정의 비용절감을 시도하는 것과는 달리 ‘성과 있는 곳에 보상’이라는 삼성전자 인사관리의 큰 틀은 유지되고 있다.
삼성전자 특유의 보상시스템인 초과이익분배금(PS·Profit sharing)과 생산성격려금(PI·Productive Incentive) 제도를 유지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초 직원들에게 예상보다 후한 성과급을 지급했다. 이날 풀린 성과급 규모는 약 6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정보통신과 LCD사업부는 연봉의 50%에 해당하는 PS를 받았다.
다만 삼성전자는 올해는 PS와 PI를 각각 연봉의 50%에서 30%로, 월 기본급의 300%에서 200%로 축소하기로 했다.
또 삼성전자는 올해 405억원 규모의 임원 장기성과급을 예정대로 지급할 방침이다. 산술적으로는 임원 1인에게 평균 4억원 정도가 지급되는 셈이다. 임원 장기성과급 제도는 지난 2005년 스톡옵션 폐지 후 이를 대체한 것으로 3년 이상 근무한 임원을 대상으로 매년 지급된다.
김은환 수석연구원은 “기본적인 보상에 대한 약속은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삼성전자도 그것은 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