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 동시지방선거에 맞춰 치러질 17개 시ㆍ도 교육감 선거에 관심이 쏠렸다. 진보 성향이 뚜렷했던 이전과 달리 이번 선거에서는 진보와 보수 후보의 양강 대결이 늘었다.
3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와 보수 1대 1 맞대결이 치러지는 곳은 △경기와 △부산 △대구 △울산 △충북 △경남 △제주 등 7곳이다. 4년 전 2018 지방선거 당시에는 △대전과 △강원 △충북 △제주 등 4곳에서만 진보와 보수 양자 대결이 치러질 만큼 진보성향 교육감 후보 비율이 높았다.
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직전인 지난 23~25일 지상파 방송 3사가 코리아리서치 등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전국 만18세 이상 1만4020명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전화면접 방식,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3.5%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도 오차범위 이내 접전을 벌이고 있는 곳을 포함, 중도 또는 보수 성향의 교육감 후보가 1위를 차지한 곳도 7곳에 달했다.
부산 교육감 선거에선 진보성향의 김석준 후보가 지난 8년간의 교육감 성과를 부각시켰다. 이에 맞서 보수 성향의 하윤수 후보는 좌파 교육 때리기에 집중했다.
부산교대 총장을 지낸 하 후보는 다른 보수진영 후보 4명과 단일화에 성공한 바 있다. 최근에는 김 후보가 하 후보의 학력을 ‘허위 학력’으로 규정하고 공격에 나서기도 했다.
하 후보가 남해종고와 부산산업대를 졸업했음에도 졸업 이후 변경된 교명인 남해제일고·경성대로 학력을 표기했다는 지적이다. 하 후보 측은 이에 대해 “학벌 지상주의와 학력에 대한 편견이 실망스럽다”며 역공을 펴고 있다.
진보 성향 이재정 교육감이 불출마를 선언한 경기교육감 선거에서는 성기선(진보 성향) 후보와 보수 성향 임태희 후보가 1 대 1로 맞붙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을 지냈던 성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준비된 교육전문가’로 자신을 소개하며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 후보와의 차별화를 꾀했다. 이에 맞선 임 후보는 ‘반(反) 전교조’ 노선으로 진보교육감 심판론을 꺼내며 ‘9시 등교제’·‘혁신학교’ 등에 대대적인 손질을 예고했다.
울산에서도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진보 대 보수 간 양자 대결이 벌어지고 있다. 재선에 도전하는 진보 성향 노옥희 후보와 보수 성향의 김주홍 울산대 명예교수 간 대결이다. 노 후보는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등을 공약했고 김 후보는 학생들의 학력 향상을 들고 나왔다.
충북에서도 3선에 도전하는 진보 성향 김병우 후보와 청주교대 총장을 지낸 보수 성향 윤건영 후보가 맞붙었다. 윤 후보는 최근 2명의 보수 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했다. 경남에서도 3선에 도전하는 진보 박종훈 후보와 보수 단일화에 성공한 김상권 전 경남교육청 교육국장 간의 경쟁이 관심을 끌고 있다.
제주에선 3선에 도전하는 진보 이석문 후보와 보수 후보 단일화에 성공한 김광수 전 제주도의회 교육의원이 4년 만에 재대결을 펼친다. 대구에선 현직인 강은희 후보와 보수 단일화를 이룬 엄창옥 경북대 교수가 대결한다.
교육감 선거는 '묻지마 선거', '깜깜이 선거'로 불리기도 한다. 유권자들의 관심이 저조하다 보니, 후보의 정책이나 역량보다 지명도가 당락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감 선거 투표용지에는 정당이나 기호도 적혀 있지 않다. 배열순서도 선거구마다 바뀐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추구하려는 장치이지만, 일반 유권자로선 판단의 기준으로 삼을 만한 장치가 부족한 셈이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좋은교사운동 등 교육계 단체들은 “구체적인 공약 없이 이념과 이미지만 난무하는 선거 운동 속에서 더 나은 선택을 하기는 어렵다”며 “근거 없는 비방을 중단하고, 어떤 비전과 정책이 더 나은 교육을 만들어 갈 수 있는지 치열하게 토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