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제조 中企 10곳 중 8곳 "곡물가 급등에 경영 악화"

입력 2022-06-07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응답기업 절반이 "식품원료구매자금 지원확대 필요"

▲국제곡물가 급등에 따른 경영환경 변화(단위 : %)  (자료 제공=중소기업중앙회)
▲국제곡물가 급등에 따른 경영환경 변화(단위 : %) (자료 제공=중소기업중앙회)

식품제조업계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곡물가격 급등으로 경영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데도 업계 내 가격경쟁력 약화와 납품처와의 관계 악화 가능성에 제품 가격을 인상하지 못하고 있다. 식품원료구매자금 지원요건을 완화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실시한 '수입농산물가 급등에 따른 식품제조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 식품제조 중소기업의 82.6%가 최근 국제 곡물가 급등으로 경영환경이 악화됐다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매우악화'가 37.6%, '다소악화'는 45.1%였다.

이 때문에 응답기업 73.7%는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4곳 중 1곳(26.3%)은 영업이익이 2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원재료 가격 전망에 대해선 전년대비 ‘10%이상 20%미만’ 증가할 것이란 응답이 36.2%로 가장 많았다. 4곳 중 1곳 이상은 30%이상 증가를 예상했다.

원재료 가격이 이처럼 높아지고 있는 데도 기업 10곳 7곳은 제품 가격을 인상하지 않거나 계획하지 않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원가증가분보다 가격을 낮게 인상'하거나 '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73.2%에 달했다. '타사에 비해 경쟁력이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58.6%)와 '납품처와의 관계 악화 가능성'(24.1%)의 영향이 컸다.

기업들은 올해 수입곡물 수급전망에 대해서도 '원활하지 않다'(71.4%)고 봤지만, 이들 중 '국산곡물로 교체할 계획이 있는 기업'은 13.6%에 불과했다. '국산 원재료 가격이 높다'(58.7%)는 게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대량납품 불가 등 수급문제(22.8%)', '원료 원산지·배합 변경 시 품질유지 어려움(10.9%)'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식품원료구매자금 지원확대를 꼽았다. 전체의 절반 수준인 49.8%가 해당 항목에 손을 들었다. 이어 △조기공매 등 비축물량 방출 통한 시장안정(47.9%) △TRQ물량 확대 등 고정운용 및 비축량 확대(40.4%) △농산물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상향조정 필요(16.9%) 순으로 지목했다. TRQ는 수입물량 중 저율관세를 부과하는 일정물량을 말한다. 이 TRQ세율로 수입할 수 있는 권리를 판매하는 수입권공매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조기공매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치솟는 원재료 가격에도 불구하고 중소식품제조업체들은 제품 가격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며 “식품원료 구매자금 지원요건 완화 및 농산물의제매입세액 공제율 상향 등 식품중소제조기업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과 TRQ물량 확대 및 비축물량 방출을 통해 원자재 수급 안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버핏 빈자리 메울까…에이블의 버크셔에 쏠린 눈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韓 의약품에 美 관세?…정부 “공급망 안정 기여, 관세조치 불필요”
  •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세종 아파트, 전세도 '들썩'…"공급 가뭄에 오를 수밖에"
  • 국힘 대선후보 단일화 격랑…金 "후보 일정 중단", 韓 "실패하면 국민 배신"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546,000
    • +0.23%
    • 이더리움
    • 2,552,000
    • -1.62%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1.88%
    • 리플
    • 3,038
    • -0.52%
    • 솔라나
    • 207,300
    • -1.05%
    • 에이다
    • 948
    • -0.11%
    • 이오스
    • 972
    • -4.71%
    • 트론
    • 348
    • -1.69%
    • 스텔라루멘
    • 371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550
    • -3.28%
    • 체인링크
    • 19,380
    • -0.72%
    • 샌드박스
    • 382
    • -3.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