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 수면 질 개선 건기식 원료 ‘차즈기추출발효물’ 中 특허

입력 2022-06-23 17: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휴온스는 아주대학교 정이숙 교수 연구팀과 수면 질 개선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공동연구를 진행해 온 ‘차즈기추출발효물(HU-054)’이 중국에서 기술 권리를 확보했다고 23일 밝혔다.

휴온스에 따르면 최근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중국 특허를 취득했다. 이 특허는 아주대학교가 보유하고 휴온스가 전용실시권을 행사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회사 측은 “2018년 국내 특허를 취득한 차즈기추출발효물의 수면 장애 예방 효과와 기술 가치를 해외에서 처음으로 인정 받았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중국에 이어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특허 취득에 속도를 내 세계 시장에서 원료 및 기술 가치를 인정받겠다”고 설명했다.

휴온스는 차즈기추출발효물을 멀티 기능성 원료로 확장 △수면의 질 개선 △불면증 예방 △긴장 완화 △항스트레스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차세대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휴온스와 아주대는 지난해부터 ‘차즈기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주발명자 정이숙 교수)에 대한 해외 특허권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비임상에서 확인된 ‘스트레스성 긴장 완화와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토대로 건강기능식품 원료로서 기능성을 인정받기 위해 인체적용 시험단계를 진행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 장애를 호소하는 이들이 늘면서 수면 보조제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차즈기추출발효물은 현재 진행 중인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비임상에서 확인한 신경안정제 다이아제팜(Diazepam)과 유사한 수준의 우수한 수면 유도 효능을 확인한 후 개별인정을 받아 2024년 건강기능식품으로 상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면의 질 개선 기능성 소재인 차즈기추출발효물은 2018년과 2020년에 각 연구성과사업화지원사업(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과 연구산업성과확산지원사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선정돼 연구 가치와 상업화 필요성 및 가능성에 대해 인정받은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유심 대란' 유심보호서비스 앱·모바일 대기시간 무려 168시간?
  • 대구 함지산 산불 진화율 82%…잔여화선 2㎞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2: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24,000
    • +1.11%
    • 이더리움
    • 2,590,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526,500
    • +5.09%
    • 리플
    • 3,290
    • +1.64%
    • 솔라나
    • 212,800
    • +1.19%
    • 에이다
    • 1,012
    • +1.1%
    • 이오스
    • 988
    • +0.82%
    • 트론
    • 357
    • +1.13%
    • 스텔라루멘
    • 406
    • -0.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000
    • -2.06%
    • 체인링크
    • 21,630
    • +2.85%
    • 샌드박스
    • 437
    • +3.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