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색~광명 지하 구간에 고속철도 전용선 짓는다…2025년 착공

입력 2022-06-30 16: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업비 2.5조 투입, 서울~광명 5분 단축ㆍ1일 60회 증회 기대

▲수색~광명 고속철도사업 노선도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수색~광명 고속철도사업 노선도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수색~광명 지하구간에 KTX만 다니는 고속철도 전용선이 건설된다. 건설이 완료되면 서울~광명 구간 운행시간이 5분 줄어들고 하루 60회 증편이 가능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30일 수색~광명 고속철도 건설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수색~광명 고속철도 건설사업은 사업비 2조 4823억 원을 들여 광명에서 용산, 서울역을 거쳐 수색차량기지까지 총 23.6㎞ 구간의 고속철도 전용선을 지하에 건설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계획에 신규사업으로 반영됐고 사업계획 구체화를 통해 이번에 예타를 통과(경제성 B/C 1.11)했다.

그동안 서울~광명 구간은 KTX와 화물차, 전동차 등 여러 열차가 운행하고 있어 고속철도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선로용량 부족 등 문제가 있었다.

사업이 완료되면 전체 구간이 고속철도 전용선으로 구축돼 서울, 용산에서 출발하는 모든 고속철도의 운행시간이 줄어들어 더 빠른 철도 서비스가 기대된다.

국토부는 서울~광명이 14.5분에서 9.5분으로 5분, 행신~서울~광명이 41분에서 21.5분으로 19.5분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선로용량이 늘어나 KTX 추가운행(현재 1일 120회 → ‘29년 기준 1일 180회, 증 60회)이 가능하고 열차 운행 간격이 짧아져 운행시간, 대기시간을 포함한 실질적인 이동시간이 크게 줄어든다.

아울러 철도운행 안전성도 높아지고 서울역 상부부지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올해 하반기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해 내년부터 기본, 실시설계를 거쳐 2025년에 착공할 계획이다.

이날 부산도시철도(하단~녹산선) 건설사업(사업비 1조1265억 원), 중앙고속도로 김해공항~대동구간 6~8차로 확장사업(사업비 3261억 원)도 예타를 통과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27,000
    • +0%
    • 이더리움
    • 2,620,000
    • +1.04%
    • 비트코인 캐시
    • 537,000
    • +6.23%
    • 리플
    • 3,283
    • -1.38%
    • 솔라나
    • 213,200
    • -1.16%
    • 에이다
    • 1,024
    • -0.29%
    • 이오스
    • 1,001
    • +2.35%
    • 트론
    • 356
    • +0.28%
    • 스텔라루멘
    • 405
    • -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850
    • -3.12%
    • 체인링크
    • 21,580
    • +0.7%
    • 샌드박스
    • 432
    • -0.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