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삼성 등 5대 그룹 자산 쏠림 심화…박근혜 정부 때 특히 급증

입력 2022-07-05 10: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리더스인덱스 공정위 대기업집단 자료 분석 결과

자산ㆍ매출액 모두 5대 그룹에 편중
자산 증가액 가장 많은 그룹은 삼성
朴 정부 때 심화…文 정부 들어 완화

(제공=리더스인덱스)
(제공=리더스인덱스)

지난 10년간 삼성ㆍSKㆍ현대차ㆍLGㆍ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자산편중 현상이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박근혜 정부 기간 때 특히 두드러졌다.

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집단 자료를 기초로 지난 10년간(2012~2021년) 상위 30대 그룹들의 자산(공정자산), 매출액, 고용인원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공정자산은 대기업집단 일반 계열사의 자산총액과 금융 계열사의 자본총액을 더한 것을 말한다.

지난해 기준 30대 그룹의 공정자산은 2217조4000억 원으로 2012년(1852조9900억 원)보다 19.7%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상위 5대 그룹의 자산은 957조5090억 원에서 1322조8230억 원으로 38.2% 늘었다.

같은 기간 30대 그룹 자산 중 상위 5대 그룹의 집중도는 51.7%에서 59.7%로 높아졌다.

지난 10년간 자산 증가액이 가장 많은 그룹은 삼성이었다. 2012년 306조920억 원에서 지난해 483조9190억 원으로 증가액이 177조8270억 원(58.1%)에 달했다.

이어 SK그룹이 10년간 140조6210억 원에서 291조9690억 원으로 107.6% 늘었다. 현대차그룹이 54.7%(166조6940억→257조8450억 원), LG그룹이 63.6%(102조3600억→167조5010억 원), 롯데그룹은 38.9%(87조5230억→121조5890억 원) 순이었다.

자산 증가율은 신세계그룹이 166.8%(증가액 38조1740억 원)로 1위였다. 이어 미래에셋그룹 134.4%(11조5990억 원), 한화그룹 123.6%(44조4440억 원), 교보생명보험그룹 119.5%(7조5210억 원) 등의 순이었다.

매출액에서도 5대 그룹의 편중 현상이 심화됐다. 30대 그룹의 매출액은 2012년 1508조8300억 원에서 지난해 1592조5590억 원으로 5.5% 증가한 반면 상위 5대 그룹 매출액은 같은 기간 731조1360억 원에서 971조5930억 원으로 32.9% 늘었다.

이 기간 하위 25개 그룹의 매출액은 777조6940억 원에서 620조9660억 원으로 20.2% 감소했다.

리더스인덱스는 박근혜 정부 기간 상위 5대 그룹들의 자산 집중도가 심화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전체 30대 그룹에서 5대 그룹이 차지하는 자산 비중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기 직전인 2012년 51.7%에서 해당 정부 말기인 2016년 59.4%로 7.7%포인트(p) 상승했다. 이 비중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60.5%에서 지난해 59.7%로 소폭 줄었다.

특히 문재인 정부 5년간 하위그룹들의 성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평가했다.

상위 5대 그룹들의 자산은 2017년 1051조380억 원에서 2021년 1322조8230억 원으로 25.8% 증가했다. 상위 5대 그룹을 제외한 25개 그룹의 자산은 685조470억 원에서 894조5770억 원으로 30.5% 증가했다. 30대 그룹의 고용 증가율도 박근혜 정부는 0.4%, 문재인 정부는 4.8%로 조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종합] 새 교황으로 중도파 레오 14세 선출⋯사상 첫 미국 출신
  • “국채보다 회사채”…고금리로 몰려간 채권개미
  • 관세 전 수요 끝물…미국 車 판매 13만대 ‘뚝’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중위권서 맞닥뜨린 KIAㆍSSG, 외인 2선발 출격 [프로야구 9일 경기 일정]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99,000
    • +4.32%
    • 이더리움
    • 3,345,000
    • +23.07%
    • 비트코인 캐시
    • 595,000
    • +1.45%
    • 리플
    • 3,297
    • +6.8%
    • 솔라나
    • 233,500
    • +9.21%
    • 에이다
    • 1,115
    • +11.5%
    • 이오스
    • 1,209
    • +3.07%
    • 트론
    • 361
    • +2.27%
    • 스텔라루멘
    • 419
    • +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750
    • +6.06%
    • 체인링크
    • 22,730
    • +9.81%
    • 샌드박스
    • 461
    • +13.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