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실트론, 전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골드 등급 획득

입력 2022-07-07 09: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웨이퍼 업계 최초로 전 사업장 ‘골드’ 받아
넷제로 2040ㆍRE100 가입 등 ESG 경영 앞장

▲SK실트론 구미1공장 전경 (사진제공=SK실트론)
▲SK실트론 구미1공장 전경 (사진제공=SK실트론)

SK실트론은 글로벌 안전과학회사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솔루션으로부터 업계 최초로 전 사업장에 대해 ‘폐기물 매립 제로’(ZWTL) 골드 등급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ZWTL 검증은 UL이 폐기물 재활용률이 우수한 사업장에 대해 검증하는 제도다. 폐기물 재활용률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재활용 수준을 평가하고 △플래티넘(재활용률 100%) △골드(95~99%) △실버(90~94%)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SK실트론은 지난해 3공장, 2공장 검증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 1공장 검증을 추가로 획득하며 전 사업장 검증을 받게 됐다.

앞서 SK실트론의 총 3개 사업장 중 300mm 웨이퍼를 생산하는 구미 3공장은 작년 5월 웨이퍼 업계 최초로 ZWTL 골드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특히 3공장의 폐기물 재활용률은 99%로 Platinum 등급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다. 이어 지난해 7월에는 2공장이 재활용률 98%, 이번 1공장은 96%로 모두 골드 등급을 획득했다.

SK실트론은 ZWTL뿐 아니라 환경 분야에서 다수의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획득하며 웨이퍼 업계의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경영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 2020년 SK실트론은 국내 최초로 RE100(재생에너지 100% 전환)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지난해 204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제로화하겠다는 ‘넷제로(Net Zero) 2040’을 선언한 바 있다.

SK실트론은 올해 3분기 중 지금까지 탄소 배출량 추가 감축 결과를 바탕으로 카본 트러스트의 탄소 발자국 인증을 한 단계 높여 전 제품 ‘Reducing 인증’을 받을 예정이다. 아울러 물 사용량 절감에 대해서도 전 제품 물 발자국 인증 획득을 추진 중이다.

▲SK실트론 전 사업장 ZWTL 라벨 이미지 (사진제공=SK실트론)
▲SK실트론 전 사업장 ZWTL 라벨 이미지 (사진제공=SK실트론)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강원 인제 산불 사흘만 재발화…확산 가능성은?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1: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89,000
    • -0.25%
    • 이더리움
    • 2,594,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518,500
    • -1.8%
    • 리플
    • 3,228
    • -2.62%
    • 솔라나
    • 210,400
    • -1.41%
    • 에이다
    • 1,005
    • -0.59%
    • 이오스
    • 985
    • -0.2%
    • 트론
    • 350
    • -2.23%
    • 스텔라루멘
    • 402
    • -1.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050
    • -3.08%
    • 체인링크
    • 21,130
    • -2.49%
    • 샌드박스
    • 422
    • -2.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