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론으로 세상 읽기] AI 관련 논문 표절과 그 유인

입력 2022-07-13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대영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지난주 한국 학계에 상당히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계 미국인 허준이 교수가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한 것이다. 노벨상보다 받기 어렵다는 이 상을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연구자가 수상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아직 노벨 학술상 수상자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한 한국 학계에는 상당히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런데 그보다 앞선 6월 말, 한국의 한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작성되어 인공지능(AI) 관련 국제저널에 발간이 확정된 논문 하나가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몇 개의 다른 논문을 짜깁기하는 방식으로 표절을 했다는 사실이 유튜브를 통해 알려지면서, 학교는 적잖이 당황했고, 학계는 부끄러움에 고개를 돌렸다. 해당 논문은 발간이 취소되었고, 공동저자인 지도교수는 표절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보름이 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한국 학계에 조사와 경사가 함께 찾아온 것이다.

AI 연구와 관련된 게임에서의 경기자(player)는 대학교와 연구자들, 그리고 국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최근 국가는 10여 개의 대학교를 선정하여 AI 대학원 프로그램 운영에 각각 10년간 190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적극적인 교육 및 연구 지원을 해왔다.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고, AI 기술이 그 핵심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다른 국가에 뒤처지지 않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국가의 투자를 받은 대학은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 성과를 내야 한다. 주어진 기간 내에 일정 숫자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하는 동시에 양질의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어야 연구비가 회수되거나 지원 규모가 축소되는 일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대학이 느끼는 연구 압박은 고스란히 대학원 구성원들, 연구자들에게 전달된다. 교수와 학생, 모두가 연구 압박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 압박은 명시적으로 전달된다.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연구과제마다 발간해야 하는 논문의 숫자가 명시되거나, 학생들의 졸업요건으로 논문발간 의무가 명시되는 방식이다. 연구비를 받은 만큼, 학비를 지원받은 만큼 기한 내에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은 상당히 높아질 수밖에 없다. 물론 외부에서의 압박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연구자 개인 역시도 스스로의 미래를 위하여 좋은 성과를 만들어내야 할 유인(incentive)을 가진다. 특히 학생의 경우 유망한 분야의 연구를 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실적을 낼 수 있다면, 좋은 교수 자리나 연구원 자리를 차지하는 기회를 얻게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또 주목할 점은 미국과 한국 학계의 AI 관련 분야 실적평가 기준이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빠르게 발전하고 진화하는 기술 분야인 만큼, 상당한 시간 소요가 있을 수밖에 없는 논문 발간을 그다지 중요시하지 않고, 콘퍼런스에서의 발표나 개발기술 공유실적 등을 중심으로 질적 평가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반면, 한국은 여전히 논문발간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의 실적평가 기준은 더 많은 논문을 발간해 내도록 할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정작 연구자들이 최첨단의 연구를 선도하도록 유도하지는 못하고 있다. 압박만 남기고 궁극적인 실적은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연구자들은 뒤처지고 따라가는 연구에 익숙해지고, 다른 연구를 참고하는 것을 넘어, 다른 연구논문을 표절하고자 하는 유혹에 쉽게 빠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AI 분야 연구자들 중에서는 “기술은 가지고 있는데 무엇을 연구하고 분석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하소연을 하는 이들도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기술은 가지고 있고, 그 기술을 기반으로 국가의 연구비 지원도 받아냈지만, 그 기술을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기에, 외국의 연구사례를 보고 비슷한 주제를 찾는 요령을 피우는 연구자들도 많다. 이러한 연구자들이 표절의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려면 실적평가 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민과 함께 국가적 AI 연구 지원의 방향성을 다시 한번 짚어보아야 할 것이다. 물론 연구윤리 교육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신라면·빼빼로·불닭까지...뉴욕은 지금 K푸드 앓이중[가보니(영상)]
  • 수험생 정시 입결 활용 시 “3개년 경쟁률·충원율 살펴보세요”
  • 트럼프, 2기 재무장관에 헤지펀드 CEO 베센트 지명
  • 송승헌ㆍ박지현, 밀실서 이뤄지는 파격 만남…영화 '히든페이스' [시네마천국]
  • 강원도의 맛과 멋을 모두 느낄 수 있는 '단단단 페스티벌' 外[주말N축제]
  • 野, 오늘 4차 주말집회…‘파란 옷, 깃발 금지' 먹힐까
  • '위해제품 속출' 해외직구…소비자 주의사항은?
  • “한국서 느끼는 유럽 정취” 롯데 초대형 크리스마스마켓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062,000
    • -1.34%
    • 이더리움
    • 4,647,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737,500
    • +7.66%
    • 리플
    • 2,135
    • +7.12%
    • 솔라나
    • 355,100
    • -1.53%
    • 에이다
    • 1,482
    • +20.59%
    • 이오스
    • 1,064
    • +8.46%
    • 트론
    • 299
    • +7.55%
    • 스텔라루멘
    • 605
    • +48.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300
    • +5.41%
    • 체인링크
    • 23,230
    • +9.27%
    • 샌드박스
    • 545
    • +1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