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도급업체까지 대출금 상환 보이콧

입력 2022-07-21 15: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개발업체 대금 미지급에 우리도 빈털터리”
시진핑 지도부, 어디 먼저 구제할지 고심 깊어질 듯

▲2021년 9월 22일 중국 베이징의 헝다그룹 주택 개발 쇼룸 건물 근처로 건축 크레인이 보이고 있다. 베이징/AP뉴시스
▲2021년 9월 22일 중국 베이징의 헝다그룹 주택 개발 쇼룸 건물 근처로 건축 크레인이 보이고 있다. 베이징/AP뉴시스
중국에서 최근 모기지 보이콧이 확산하면서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도급업체에 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면서 도급업체의 은행 대출금 상환 보이콧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전날 한 도급업체가 중국 민간 경제지 차이신에 보낸 성명에 따르면 헝다그룹을 포함한 대형 개발업체들의 유동성 위기로 도급업체 수백 곳이 대금을 받지 못해 빚을 상환할 여유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규모 도급업체들을 소유한 다른 기업은 온라인에 “헝다의 디폴트(채무불이행)로 자사까지 빈털터리가 됐다”며 “대출금과 연체금을 갚지 않겠다”는 내용의 글을 유포했다. 이 기업은 15일 헝다 후베이성 사무실로도 서한을 보내 “다른 업체들에게도 대출금 보이콧에 동참하라고 할 것”이라며 “공급망 위기의 연쇄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결과는 헝다그룹이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대금을 지불하고도 집을 인도받지 못한 수분양자들의 모기지 상환 보이콧이 먼저 확산됐다. 개발업체의 유동성 위기로 프로젝트들이 좌초하거나 지연된 탓이다. 수분양자들의 모기지 보이콧은 6월 말 중단된 헝다의 중국 장시성 징더전 개발 프로젝트에서 시작돼 현재 약 91개 도시에서 301개 이상 프로젝트로 확산됐다.

부동산 위기가 심화하면서 시진핑 지도부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정부가 누구를 먼저 구제할 것인지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고 설명했다. 일부 대출자만 지원하면 다른 사람들을 자극해 더 많은 보이콧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이렇게 되면 부동산 시장 전체가 디폴트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 있다.

중국 은행들은 모기지 보이콧으로 인한 위험이 약 21억 위안(약 4064억 원)으로 아직 통제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GF증권은 “피해가 2조 위안까지 이를 수 있다”고 경종을 울렸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경제가 어려운 만큼 부동산까지 악화되면 정부의 경제회복 노력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한편, 피해자들의 시위로 이어진 지방은행 4곳과 관련한 예금 사기에 대해 당국이 피해자 구제를 시작했다. 당국은 5만 위안 이하 예금자들의 경우 15일부터 피해 예금액을 지급하기 시작했고, 10만 위안 이하 예금자들에게는 25일부터 지급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1: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842,000
    • +0.85%
    • 이더리움
    • 4,862,000
    • +1.86%
    • 비트코인 캐시
    • 545,000
    • +2.64%
    • 리플
    • 668
    • +0.91%
    • 솔라나
    • 207,400
    • +7.63%
    • 에이다
    • 551
    • +2.04%
    • 이오스
    • 826
    • +2.35%
    • 트론
    • 172
    • -1.15%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900
    • +2%
    • 체인링크
    • 20,170
    • +3.38%
    • 샌드박스
    • 476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