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용품 물가 급등에 서민 부담 가중…바디워시 27%↑·비누 25%↑

입력 2022-08-09 11: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펄프 가격 상승으로 화장지, 생리대 가격도 급등…밀폐용기 가격 29.6%↑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샴푸를 고르고 있다. (뉴시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샴푸를 고르고 있다. (뉴시스)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미용품과 주방용품 등 생활용품 물가가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가 계속돼 식료품과 외식비 등 생활물가가 급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물가지수는 107.30으로 1년 전보다 5.1% 상승했다. 이 중 주방용품 및 가정용품 물가지수는 112.48로 13.1% 뛰어올랐고, 일상 생활용품 및 가사 서비스 지수(113.79)도 9.7% 올랐다.

품목별로 보면, 이미용품 가격의 상승 폭이 컸다. 올해 초부터 생활용품 기업들이 원자잿값 상승과 인건비, 물류비 등 비용 증가를 이유로 샴푸, 바디워시 등의 제품 가격을 인상한 영향이다. 바디워시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7.1% 상승했고, 비누 가격은 1년 전보다 25.7% 올랐다. 이외에도 모발 염색약(19.0%), 기능성 화장품(14.4%), 치약(13.3%), 샴푸(9.4%) 등의 가격이 상승했다.

펄프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화장지, 생리대 등 생필품의 가격도 큰 폭으로 뛰어올랐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미국 남부산혼합활엽수펄프 가격은 톤당 101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화장지 가격은 1년 전보다 8.6% 올랐고, 생리대와 종이 기저귀 가격도 각각 6.3%, 3.5% 상승했다. 펄프를 원료로 하는 키친타월 가격도 6.7% 올랐다.

용기, 조리기기 등 주방용품의 가격도 많이 올랐다. 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과 유가 상승 등의 여파로 주방·생활용품 기업에서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밀폐용기 가격이 1년 전보다 29.6% 급등한 가운데, 알루미늄이 주요 원료로 쓰이는 프라이팬과 냄비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16.4%, 14.0% 올랐다. 가정용 비닐용품(7.9%), 컵 등 식기(7.2%) 등의 가격 상승세도 가팔랐다. 이외에도 세탁세제(20.1%), 부엌용 세제(12.2%), 청소용 세제(9.6%) 등 세제류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생활용품 물가의 상승은 서민들의 가계 부담을 키우고 있다. 특히, 생활과 밀접한 생필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의 물가 체감도가 클 수밖에 없다. 생활용품과 식료품 등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 물가에 더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7.9% 올라 1998년 11월(10.8%) 이후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올해 9~10월에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6.3% 상승했는데, 9~10월쯤엔 정점을 형성하고 서서히 둔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실제로 물가 기여도가 높은 원유 등 원자재와 곡물 가격이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 불안 요인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72,000
    • -1.81%
    • 이더리움
    • 2,663,000
    • -4.04%
    • 비트코인 캐시
    • 447,700
    • -1.13%
    • 리플
    • 3,005
    • -4.21%
    • 솔라나
    • 172,300
    • -7.66%
    • 에이다
    • 951
    • -5.37%
    • 이오스
    • 1,182
    • +0.51%
    • 트론
    • 344
    • -3.1%
    • 스텔라루멘
    • 381
    • -4.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710
    • -4.97%
    • 체인링크
    • 18,930
    • -5.44%
    • 샌드박스
    • 380
    • -4.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