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개장] 코스피 2431.07p, 외국인 순매도에 하락세 (▼19.86p, -0.81%)

입력 2022-08-31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 거래일에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피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 기조에 밀려 하루 만에 하락 전환했다.

31일 오전 9시 3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19.86포인트(-0.81%) 하락한 2431.07포인트를 나타내며, 243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은 매수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 중이다.

개인은 771억 원을 매수 중이며 기관은 193억 원을, 외국인은 592억 원을 각각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섬유·의복(+0.01%)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전기·전자(-0.68%) 통신업(-0.61%) 등은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의약품(-0.57%) 전기가스업(-0.57%) 운수창고(-0.50%) 등의 업종이 하락 중이다.

코스피 대표 종목인 삼성전자가 0.85% 내린 5만8300원에 거래되는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2개 종목이 오름세로 출발했다.

SK가 1.54% 오른 23만100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차(+0.26%)가 상승 중인 반면 NAVER(-1.89%), SK이노베이션(-1.78%), 신한지주(-1.53%)는 하락 출발했다.

그밖에 한미글로벌(+8.83%), 계양전기우(+5.46%), 솔루스첨단소재2우B(+5.18%)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두산에너빌리티(-6.22%), S-Oil(-4.29%), 체시스(-3.24%) 등은 하락 출발했다.

현재 163개 종목이 상승 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615개다. 120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50원(+0.32%)으로 상승 출발했으며, 일본 엔화는 974원(-0.11%), 중국 위안화는 195원(+0.10%)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61,000
    • +2.02%
    • 이더리움
    • 2,668,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441,600
    • +1.31%
    • 리플
    • 3,135
    • +4.36%
    • 솔라나
    • 179,700
    • +5.33%
    • 에이다
    • 974
    • +3.73%
    • 이오스
    • 1,182
    • -2.23%
    • 트론
    • 355
    • +1.14%
    • 스텔라루멘
    • 382
    • +0.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280
    • +1.59%
    • 체인링크
    • 19,030
    • +2.2%
    • 샌드박스
    • 389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