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시 PCR 의무 폐지하자 다시 늘어나는 백화점 외국인 매출

입력 2022-09-12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입국 관련 방역 조치 완화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백화점의 외국인 매출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달부터 입국 전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 검사 의무가 폐지되면서 외국인 매출은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

12일 현대백화점은 올 7∼8월 외국인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198% 신장됐다고 밝혔다.

현대백화점의 외국인 매출은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2020년에 전년 대비 70%까지 줄었다가 올 들어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전환 분위기와 함께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

해외 입국자의 자가격리 조치가 해제되기 전인 올해 1분기에 작년 동기 대비 90% 늘어난 데 이어 2분기에는 129% 증가하는 등 갈수록 매출 신장폭이 커지고 있다.

실제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도 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7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26만3986명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8만3005명) 대비 218% 늘었다.

외국인 관광객 증가폭은 백신을 접종한 해외 입국자의 자가격리 의무가 해제된 이후인 4월에 82.4% 증가한 것을 시작으로 5월(136.3%), 6월(195.6%) 등 지속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은 현대백화점에서 주로 뷰티(218%), 패션(233%) 제품을 많이 구매했고 식당가나 카페(201%)도 많이 이용했다.

특히 더현대서울에서 선보인 K팝 관련 팝업스토어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더현대서울은 지난 5월부터 엔터테인먼트 기획사 등과 손잡고 K팝 관련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지난달 31일까지 진행된 아이돌 뉴진스 팝업 매장의 경우 입장 대기시간만 4∼5시간이 걸릴 만큼 인기였다.

또 이달 4일까지 열린 블랙핑크의 '핑크 베놈' 뮤직비디오 세트 재현 팝업매장도 큰 호응을 얻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입국 전 PCR 검사 의무가 사라지면서 더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외국인 고객을 겨냥한 다양한 이벤트를 지속해서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두 번째 대면한 정용진…3배 실적 점프에 ‘글로벌 영향력’ 확대
  • 팬심도 쌓고 자산도 쌓고…최애 ‘덕질통장’으로 즐겁게 저금해볼까 [경제한줌]
  • '아아'의 계절이 온다…2025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 비교 "가장 싼 곳은?" [그래픽 스토리]
  • 대학 축제 라인업, 집착(?)의 이유는 [이슈크래커]
  • 단독 대선 앞두고...동서식품, 6개월 만에 또 ‘가격 인상’
  • 김용태 비대위원장, 尹 전 대통령에 탈당 권고…"대선 승리 위해 결단해달라"
  • 유권자 10명 중 8명 “이번 대선 반드시 투표하겠다”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654,000
    • -0.79%
    • 이더리움
    • 3,615,000
    • -2.01%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49%
    • 리플
    • 3,499
    • -4.69%
    • 솔라나
    • 241,800
    • -4.99%
    • 에이다
    • 1,089
    • -5.47%
    • 이오스
    • 1,091
    • -7.78%
    • 트론
    • 382
    • -1.04%
    • 스텔라루멘
    • 422
    • -3.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150
    • -6.29%
    • 체인링크
    • 23,010
    • -4.44%
    • 샌드박스
    • 468
    • -7.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