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 대비 사회공헌액 1위는 제주은행…카뱅은 '꼴찌'

입력 2022-10-04 17: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출과 이자가 급증해 은행들이 최근 수년간 사상 최대 실적을 내고 있지만 사회공헌에는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개 은행의 사회공헌금액은 2년째 줄었고, 지난해 각 2조 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한 5대 은행(NH농협·신한·우리·하나·KB국민은행)의 사회공헌 비율은 5~6%에 그쳤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개 은행의 작년 당기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활동 비율은 -1.26~13.59%였다.

사회공헌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은행(13.59%)이었다. 이어 부산은행(12.8%), NH농협은행(12.26%), 전북은행(11.28%), 광주은행(11.09%), 대구은행(10.68%), 경남은행(10.2%) 순이었다. 대부분 지방은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NH농협은행이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6.74%), KB국민은행(6.32%), 우리은행(6.29%), 하나은행(5.71%)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사회공헌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카카오뱅크(0.15%)였다.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도 0.31%에 그쳤다.

은행들의 배당성향(당기이익 대비 현금배당 비율)은 SC제일은행이 65%로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 55%, 경남은행 50%, 부산은행 48%, NH농협은행 47%, 하나은행이 45%로 뒤를 이었다.

윤 의원은 "최근 2년여간 코로나19로 인한 생활고, 자금난에 허덕인 가계와 기업이 대출에 매달리면서 은행과 금융지주의 이자이익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했다"며 "그런데도 은행들은 늘어난 이익으로 내부 임직원의 급여와 성과급만 늘리고 있다. 공익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04,000
    • +1.45%
    • 이더리움
    • 3,240,000
    • +12.19%
    • 비트코인 캐시
    • 571,000
    • -3.63%
    • 리플
    • 3,283
    • +3.79%
    • 솔라나
    • 239,100
    • +6.17%
    • 에이다
    • 1,096
    • +6.3%
    • 이오스
    • 1,198
    • -0.91%
    • 트론
    • 366
    • +1.95%
    • 스텔라루멘
    • 415
    • +4.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800
    • +2.71%
    • 체인링크
    • 22,330
    • +3.91%
    • 샌드박스
    • 462
    • +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