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중시” 이재용, 국제기능올림픽 현장 방문할 듯

입력 2022-10-16 16: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뉴시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뉴시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3년 만에 국제기능올림픽 현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정부와 재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17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2 국제기능올림픽 특별대회’ 폐회식을 참관하고 선수들을 격려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이 기능올림픽을 찾는 것은 전무 시절이던 2009년 캐나다 캘거리 대회 이후 13년 만이다.

고용노동부와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한국산업인력공단) 주관으로 이달 9일 개막한 이번 대회에는 전 세계 35개국 133명의 선수가 참가해 △금형 △정보기술 △사이버보안 등 8개 직종에서 실력을 겨뤘다. 2년마다 개최되는 대회지만 작년으로 예정됐던 중국 상하이 대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1년 연기됐다가 취소된 뒤 올해 한국 등 15개국에서 분산 개최됐다.

삼성전자는 2007년부터 국제기능올림픽을 후원해왔으며 2013년부터 올해까지 5개 대회 연속 최상위 타이틀 스폰서(OPE)를 맡고 있다. 또 2007년부터 매년 전국기능경기대회에 2억5000만 원을, 국제기능올림픽 대회에 나서는 국가대표의 해외 훈련비 등을 위해 대회마다 7억2000만 원을 각각 지원하고 있다. 누적 후원금만 100억 원에 달한다.

삼성전자 등 그룹 계열사는 대회에 출전한 숙련기술 인력을 지속 채용하고 있기도 하다. 삼성에 입사한 숙련기술 인력이 국제기능올림픽 대회에서 획득한 메달만 금메달 28개 등 50여 개다.

이 부회장의 기능올림픽 현장 방문은 최근 기술력을 강조해온 그가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힘을 주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부회장은 8·15 특별사면 이후 첫 공식 행보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 기공식에 참여해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는 포부를 밝히는 등 기술력을 강조했었다. 지난 6월에는 유럽 출장을 마친 소회를 묻자 “아무리 생각해봐도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 같다”며 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투자 확대 10곳 중 1곳 뿐⋯'경제 한파' 이미 시작됐다 [차기정부 기업과제 설문]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출근길 67점, 퇴근 후 39점”…얼굴로 본 스트레스 보고서 ‘마음첵’ [써보니]
  • 은행 예금 ‘식고’ 저축은행 ‘후끈’…예테크족 시선 집중
  • 삼성전자, 獨 HVAC 기업 '플렉트' 인수 추진
  • 글로벌 항노화 전쟁 시작…국내 기업도 ‘노화 치료제’ 개발 본격화 [돈이 되는 항노화②]
  • '고양이 그림자 사진 챌린지' SNS 피드 점령…만드는 방법은?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01,000
    • +0.53%
    • 이더리움
    • 3,755,000
    • +6.49%
    • 비트코인 캐시
    • 577,000
    • -0.35%
    • 리플
    • 3,639
    • +1.88%
    • 솔라나
    • 259,000
    • +5.46%
    • 에이다
    • 1,169
    • +0.95%
    • 이오스
    • 1,246
    • -0.4%
    • 트론
    • 381
    • -1.04%
    • 스텔라루멘
    • 443
    • -0.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50
    • -0.26%
    • 체인링크
    • 24,550
    • +3.76%
    • 샌드박스
    • 512
    • +0.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