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내년 취업자 증가폭 79만명→8만명 대폭 축소…고령화·기저효과 탓"

입력 2022-11-0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생산가능인구 감소 취업자 수 하방 압력으로…"노동공급 확대 정책 필요"

내년 취업자 수 증가폭이 올해보다 70만 명 넘게 줄어든 8만 명대로 뚝 떨어질 것이란 국책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고령화·저출산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와 올해 고용호조 기저효과가 감소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경제 활동 주축인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의 인구구조 변화는 취업자 수의 지속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노동공급 확대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3일 현안분석 '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에 인구구조 변화가 취업자 수 감소의 요인으로 전환되고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올해(79만1000명)보다 크게 축소된 8만4000명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KDI는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의 취업자 수에 대한 영향은 올해 –8만6000명에서 내년 –16만9000명으로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령화·저출산 가속화로 핵심노동인구(30~59세) 비중은 2012년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세로 전환됐고, 미래 핵심노동인구인 청년층(15~29세) 비중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생산가능인구(15~64세)도 낮은 출산율 등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향후 취업자 수에 지속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KDI는 진단했다.

KDI는 노동투입 감소는 우리 경제의 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노동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지연 KDI 연구위원은 "여성, 젊은 고령층, 외국인 등 현재 충분히 활용되고 있지 않은 인력풀의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출산율 제고를 위한 노력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과 육아의 병행을 뒷받침하는 문화 조성 및 관련 제도 개선에 나서는 한편, 젊은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독려하고, 외국인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또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력양성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KDI는 최근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올해 1~9월 취업자가 전년보다 89만 명 증가하는 등 노동시장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비대면⋅디지털경제와 관련된 노동 수요가 증가한 데 주로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91,000
    • -0.08%
    • 이더리움
    • 2,297,000
    • +0.13%
    • 비트코인 캐시
    • 492,500
    • +2.39%
    • 리플
    • 2,990
    • -0.7%
    • 솔라나
    • 192,700
    • +0.31%
    • 에이다
    • 891
    • -0.89%
    • 이오스
    • 903
    • +1.8%
    • 트론
    • 352
    • -2.22%
    • 스텔라루멘
    • 349
    • +0.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00
    • +2.56%
    • 체인링크
    • 18,090
    • +0.33%
    • 샌드박스
    • 374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