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이상민 경질론 일축…“세월호 때 수습하고 8개월 후 장관 사퇴”

입력 2022-11-08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람 바꾸면 행정공백 생겨 사의 논할 때 아니다"
"그래서 세월호 때 수습 뒤 8개월 후 장관 사퇴"
"성수대교 때는 인사청문회 없어 즉시 바꿀 수 있었다"
"물러나는 게 급한 게 아니라 원인과 책임 찾고 판단해야"
"사고·사망자 표현, 중요치 않아…尹, 참사·희생자라 했다"
"尹 관저 200명 경호? 사실 아냐…靑 경창력과 유사 규모"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8일 오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열린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대통령 경호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선서문을 제출한 뒤 자리에 앉고 있다. 왼쪽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8일 오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열린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대통령 경호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선서문을 제출한 뒤 자리에 앉고 있다. 왼쪽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

용산 대통령실은 8일 이태원 참사 책임을 물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경질해야 한다는 요구를 일축했다. 세월호 참사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이 사고 수습 후 8개월이 지난 뒤에 사퇴했다는 점을 짚기도 했다.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대통령실 국정감사에 출석해 더불어민주당의 잇단 이 장관 경질 필요성 제기에 “(2014년) 세월호 때 해수부 장관은 다 수습을 하고 8개월 후에 사퇴했다”고 짚었다.

김 실장은 “(1994년 이영덕 당시 국무총리가 사의를 표했던) 성수대교 (사고) 때는 인사청문회 제도가 없어 장관을 즉시 바꿀 수 있었지만 지금 장관과 경찰청장을 바꾼다면 행정공백이 생긴다”며 “지금 사람을 바꾸는 것도 중요할 수 있지만 그 다음에는 어떡하나. 인사청문회를 거치는 데 두 달은 흘러 행정공백이 생겨서 지금은 사의를 논의할 때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인사청문회법은 2000년 제정됐으며, 대상이 장관까지 확대된 건 2005년이다.

김 실장은 그러면서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이 장관을 비롯한 국무위원, 경찰청장, 대통령실 참모진 등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한 이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문책 인사 건의도 없었다고 밝혔다. 다만 윤 대통령이 사실상 이 장관을 재신임한 것 아니냐는 추측에는 “그런 약속은 안 했다”고 선을 그었다.

김 실장은 지금은 책임을 묻기보다 원인 분석이 우선이라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그 분들이 물러나는 게 당장 급한 게 아니고, 이 참사의 원인과 누가 얼마나 책임을 져야 하는지부터 정하고 판단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8일 오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열린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대통령 경호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를 받으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8일 오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열린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대통령 경호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를 받으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김 실장은 또 정부 공식문서에 이태원 참사에 대해 ‘사고’, 희생자 대신 ‘사망자’라는 표현을 쓰는 데 대해선 “재난안전법에 있는 법률적 용어를 중립적으로 쓴 것 같다”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실무자들이 그리 썼는데 저희는 그 용어가 그렇게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공식회의나 브리핑에서 참사와 희생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실장은 업무보고에서도 “인사를 드리기에 앞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들께도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했다.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호에 경찰력이 허비된 게 이태원 참사 원인이라는 비판도 일축했다. 김종철 대통령실 경호처 차장은 “한남동에 200명이 있었다는 건 부풀려졌고, 그보다 훨씬 적은 인원이 있었다”며 “경호 인력 전체로 보면 기존 청와대에 있던 경찰력과 유사한 규모”라고 반박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544,000
    • +2.66%
    • 이더리움
    • 3,281,000
    • +18.62%
    • 비트코인 캐시
    • 577,500
    • -1.87%
    • 리플
    • 3,360
    • +7.49%
    • 솔라나
    • 243,400
    • +11.29%
    • 에이다
    • 1,113
    • +9.01%
    • 이오스
    • 1,197
    • +0.25%
    • 트론
    • 364
    • +2.54%
    • 스텔라루멘
    • 426
    • +9.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50
    • +4.38%
    • 체인링크
    • 22,780
    • +8.06%
    • 샌드박스
    • 462
    • +12.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