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가 카카오에 소상공인 피해보상협의체 구성을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달 17일부터 31일까지 약 2주간 진행한 ‘카카오 마비 소상공인 피해접수’를 집계한 결과 2117건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소공연은 지난달 15일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서비스 마비에 소상공인 영업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자, 피해상황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피해사례를 접수했다.
분석 결과 외식업이 26.9%로 피해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서비스업 20.8%, 운수업 20.2%, 도소매업 18.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 뉴스
외식업의 경우 카카오페이 결제 불가에 따른 피해가 가장 많았다. 톡채널 마비에 의한 주문 접수 불가, 카카오맵 이용하는 배달대행업체의 배달 불가 등의 피해도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업에서는 응답자 411명 중 80%에 달하는 326명이 톡채널 마비로 인한 피해를 호소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 이후 톡채널을 활용해 100% 예약제로만 운영해온 업체들이 많았던 탓에 카카오 마비로 인한 피해가 더 컸다.
또 운수업에서는 지역에서 개인택시를 운행하고 있는 기사들의 피해가 빗발쳤다. 도심과 달리 배회운행을 하지 않는 지역 택시의 경우, 카카오T가 시장을 독점한 후 중소 콜택시업체가 고사하며 카카오T에 전적으로 의존해왔던 게 피해를 더 키웠던 것으로 보인다.
소공연 관계자는 "카카오를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한 소상공인이 매우 광범위했다"며 "유무료 서비스를 막론하고 카카오 마비가 초래한 소상공인의 실질적 영업피해에 대한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카카오측은 유무료 여부를 떠나 마비에 따른 소상공인의 피해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보상안을 마련하고, 피해보상 협의체 구성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