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피 2483.16p, 상승(▲80.93p, +3.37%)마감. 기관 +9912억, 외국인 +6902억, 개인 -16617억

입력 2022-11-11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 기조를 보였던 코스피시장이 기관과 외국인의 ‘쌍끌이’ 매수세에 장 종반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11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0.93포인트(+3.37%) 상승한 2483.16포인트를 기록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매수했으며, 개인은 홀로 매도세를 보였다.

기관은 9912억 원을, 외국인은 6902억 원을 각각 순매수 했으며 개인만 16617억 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운수창고(+3.33%) 업종의 상승이 눈에 띄었으며, 서비스업(+3.15%) 전기·전자(+2.72%)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의료정밀(+2.39%) 종이·목재(+2.02%) 유통업(+1.93%) 등의 업종이 상승 마감했다.

주요 테마 현황을 살펴보면 여행·관광(+5.37%), 전자결제(+4.95%), 스마트폰 부품(+4.83%), IT(+4.53%), PCB생산(+3.98%) 관련주 테마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삼성전자는 4.14% 오른 6만2900원에 장을 마쳤으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7개 종목이 상승했다.

카카오가 15.55% 오른 5만8700원에 마감했으며, NAVER(+9.94%), LG화학(+6.04%)이 오름세를 보인 반면 신한지주(-0.93%), 삼성바이오로직스(-0.77%), 현대모비스(-0.45%)는 하락했다.

그 밖에도 카카오뱅크(+20.26%), 크래프톤(+18.23%), F&F홀딩스(+17.35%) 등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에스엠벡셀(-5.74%), 에이엔피(-5.65%), 롯데지주(-5.63%)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카카오페이(+29.92%), 세우글로벌(+29.74%)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791개 종목이 상승했으며 96개 종목이 하락, 43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51,000
    • -0.25%
    • 이더리움
    • 2,635,000
    • +0.8%
    • 비트코인 캐시
    • 516,000
    • -2.18%
    • 리플
    • 3,160
    • +0.38%
    • 솔라나
    • 208,400
    • -1.37%
    • 에이다
    • 999
    • +0.1%
    • 이오스
    • 1,029
    • -0.68%
    • 트론
    • 356
    • +0.85%
    • 스텔라루멘
    • 38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00
    • -1.67%
    • 체인링크
    • 20,210
    • -1.99%
    • 샌드박스
    • 402
    • -4.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