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잠룡’ 드샌티스 주지사, 차기 대권주자 조사서 트럼프 제쳐

입력 2022-11-14 08: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화당원‧공화당 지지 무당층 42%가 드샌티스 선호
트럼프 지지는 35%...한 달 전 45%에서 10%p 떨어져
중간선거 성적 부진에 트럼프 책임론 확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8년 11월 3일 당시 주지사 후보였던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뒤에 서 있다. 펜사콜라(미국)/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8년 11월 3일 당시 주지사 후보였던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뒤에 서 있다. 펜사콜라(미국)/AP뉴시스

미국 중간선거 이후 공화당 내 잠재적 대권주자인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앞질렀다.

공화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중간선거가 공화당의 압승으로 끝나지 못한 데 대한 책임을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돌리는 분위기가 확산했다고 13일(현지시간) 미 인터넷매체 악시오스가 평가했다.

공화당 내 킹메이커로서의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인식도 약화했다.

야후뉴스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중간선거 이후인 9~11일 미국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화당원과 공화당 성향의 무당층 유권자 42%가 차기 공화당 대선 주자로 디샌티스 주지사를 선호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선호도는 35%였다.

지난달 같은 조사에서 45%가 트럼프 전 대통령을, 35%가 드샌티스 주지사를 선호한다고 답한 것에서 순위가 바뀐 것이다.

다만 열성 공화당원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45%의 선호도를 기록하며 43%인 드샌티스 주지사보다 2%포인트(p) 앞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15일 중대한 발표를 하겠다고 밝히며 대선 출마 선언을 할 것을 시사했다.

그는 최근 며칠간 드샌티스 주지사가 2024년 대선 출마를 배제하지 않은 것에 대해 비난해왔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드샌티스 주지사가 만만치 않은 경쟁자임을 인지하고 있다는 의미라는 분석도 나온다.

드샌티스 주지사는 아직 대선 출마에 대한 의견을 밝히지 않았지만, 그의 측근들은 드샌티스 주지사가 내년 5월 주 입법 회기가 끝나면 정확한 의사를 밝힐 것으로 예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08,000
    • -0.11%
    • 이더리움
    • 2,310,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467,600
    • -1.04%
    • 리플
    • 3,057
    • -1.16%
    • 솔라나
    • 192,500
    • +2.78%
    • 에이다
    • 896
    • -0.33%
    • 이오스
    • 892
    • +3.24%
    • 트론
    • 362
    • -1.09%
    • 스텔라루멘
    • 346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60
    • +0.42%
    • 체인링크
    • 18,020
    • -0.44%
    • 샌드박스
    • 357
    • -1.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