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피 2434.33p, 하락(▼45.51p, -1.84%)마감. 개인 +9080억, 외국인 -4033억, 기관 -5079억

입력 2022-12-02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하락세로 출발했던 코스피시장이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세에 밀려 장 종반에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2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5.51포인트(-1.84%) 하락한 2434.33포인트로 마감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개인이 매수 포지션을 취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했다.

개인은 9080억 원을 순매수 했으며 외국인은 4033억 원을, 기관은 5079억 원을 각각 순매도 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의료정밀(+0.54%)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종이·목재(+0.47%)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건설업(-3.80%) 전기가스업(-1.35%) 등의 업종은 하락세를 보였다.

그 밖에도 통신업(+0.40%) 등의 업종이 상승 마감했으며, 철강및금속(-1.14%) 운수창고(-0.93%) 금융업(-0.90%) 등의 업종이 동반 하락했다.

주요 테마 중 자전거(+1.82%), 헬스케어(+1.11%), 방위산업(+0.89%), 교육(+0.83%), 수산업(+0.54%) 관련주 테마의 상승이 눈에 띄었으며, 원자력발전(-2.04%), IT(-1.91%), NFC(-1.63%), 태양광(-1.56%), 전자결제(-1.53%) 관련주 테마는 상대적으로 하락 마감했다.

삼성전자는 3.51% 내린 6만400원에 장을 마쳤으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이 모두 하락하는 불안한 장세를 보였다.

그 밖에도 KH 필룩스(+17.31%), 퍼스텍(+16.38%), 한국주강(+12.15%) 등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코오롱글로벌우(-29.91%), IHQ(-27.07%), 진흥기업2우B(-16.33%) 등은 하락폭을 키웠다. 동부건설우(+29.79%)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265개 종목이 상승했으며 610개 종목이 하락, 5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경고성·호소형 계엄은 없다”…尹측 계엄 당위성 주장 콕 집어 배척
  • 尹파면 첫 주말…도심 곳곳에서 찬반집회
  • 좋아하는 야구팀, 우승 예상팀 모두 '기아 타이거즈' [데이터클립]
  • 돈벼락의 저주…외신이 바라본 복권 당첨 후 불행
  • 알리익스프레스 바짝 쫓는 테무…한국 시장 공략 속도전
  • 벚꽃 축제 본격 시작…부여서는 백제 유적 야간 개장 [주말N축제]
  • '로비'로 유쾌하게 돌아온 하정우…감독 하정우 표 블랙코미디는? [시네마천국]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76,000
    • +0.94%
    • 이더리움
    • 2,652,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442,400
    • +0.52%
    • 리플
    • 3,165
    • +2.56%
    • 솔라나
    • 174,700
    • +1.98%
    • 에이다
    • 966
    • +1.05%
    • 이오스
    • 1,145
    • -4.26%
    • 트론
    • 353
    • -1.12%
    • 스텔라루멘
    • 376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070
    • +0.18%
    • 체인링크
    • 18,790
    • +1.4%
    • 샌드박스
    • 387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