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슈진단 ‘네비파이 튜머보드’, 강원대병원 다학제 진료 지원 본격화

입력 2022-12-21 09: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장암 다학제 진료에 우선 활용…환자 중심의 논의 가능해져

▲강원대병원 의료진이 대장암 다학제 진료에 네비파이 튜머보드를 활용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로슈진단)
▲강원대병원 의료진이 대장암 다학제 진료에 네비파이 튜머보드를 활용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로슈진단)

한국로슈진단은 강원대학교병원의 다학제 진료에 네비파이 튜머보드(NAVIFY Tumor Board) 지원을 본격화했다고 21일 밝혔다.

네비파이 튜머보드는 한 화면에서 환자의 데이터를 한눈에 보여주고, 각 환자에게 최적화된 글로벌 임상시험·논문·가이드라인 등을 추천해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이다.

로슈진단에 따르면, 네비파이 튜머보드는 환자 맞춤 임상시험, 논문 탐색 등 의료진의 임상적 의사 결정 지원을 포함해 전체 다학제 진료 운영 프로세스 효율화 및 표준화하는데 큰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해외에서는 실제 네비파이 튜머보드 도입 후 다학제 진료 운영에 관련된 시간을 최대 30% 단축했고, 환자별 준비시간 차이를 최대 76%까지 감소시킨 바 있다고 했다.

한국로슈진단은 이번 실활용 준비를 위해 에비드넷과의 협업해 강원대병원이 관리하고 있던 △암 관련 치료기록 △조직검사 △영상검사 △바이오마커 등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을 네비파이 튜머보드에 연동했으며, 시범 운영 기간에도 의료진의 높은 만족도를 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대장암 다학제 진료에 네비파이 튜머보드를 활용한 의료진들은 다학제 진료 전후 환자 정보를 검토하고 임상시험 및 논문 등의 자료를 참고하는데 매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간호사의 경우 환자 정보 정리와 다학제 진료 준비 및 운영 업무 통합 관리에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강원대병원은 이번 실활용을 시작으로 다학제 진료에 전방위적으로 네비파이 튜머보드를 활용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다학제 진료를 지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구축될 표준화된 데이터를 연구에 다방면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킷 탕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는 “네비파이 튜머보드는 환자 중심주의를 디지털 기술로 실현할 수 있는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으로, 궁극적으로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 목표”라며 “국내 의료기관들과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암 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에서 네비파이 튜머보드가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투사 지정 예고에 분주…조직 손질에 인력 모시기 [초대형IB 대전 上] ①
  • 현대차·기아에 BYD도 참전…뜨거워지는 ‘중고차 시장’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전세사기 불씨 언제쯤 꺼질까…전국 강제경매로 팔린 주택, 1분기 내내 늘었다
  • 전장연, 오늘 혜화역 4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K바이오, 남성 암 2위 ‘전립선암’ 진단·치료제 시장 개척 속속
  • [날씨] "봄 날씨 즐기세요" 낮 최고 27도…내일은 출근길 우산 필수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09: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85,000
    • -0.03%
    • 이더리움
    • 2,289,000
    • -1.55%
    • 비트코인 캐시
    • 486,100
    • -0.84%
    • 리플
    • 2,996
    • -0.43%
    • 솔라나
    • 198,700
    • -1.34%
    • 에이다
    • 895
    • -1.32%
    • 이오스
    • 942
    • +2.28%
    • 트론
    • 351
    • -0.28%
    • 스텔라루멘
    • 351
    • -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40
    • -0.69%
    • 체인링크
    • 19,110
    • +2.47%
    • 샌드박스
    • 395
    • +2.33%
* 24시간 변동률 기준